'미터법'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길이의 단위인 Meter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Meter라는 말에서 볼 수 있듯이, 모든 길이의 단위는 meter에서 기원하는 것입니다. 흔히 잘못 생각하는 것이 단위의 기본을 센티미터에서 출발하여 미터가 되었을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그럴 수도 있는 것이 우리는 작은 단위에서 큰 단위로 나아가는 방식에 익숙하기 때문입니다. 길이의 표준이 meter였고, 이 미터가 100칸으로 똑같이 나뉜 것이 centimeter입니다.
미터법에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길이의 단위인 'Meter'라는 말은 그 어원상 measure(측정하다)와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Meter라는 말 역시 산스크리트어의 'mita'라는 말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습니다. Mita라는 말의 발음에서 볼 수 있듯이 meter와 가장 가까운 단위의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길이의 단위로 미터를 표준으로 삼은 것은 프랑스혁명 이후로 단위 측정의 통일을 위한 움직임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역사상 단위의 통일을 추진한 사례는 무수히 많이 등장합니다. 인간의 생활에서 측량이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의 표준에 대한 합의가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동양의 역사에서는 '도량형'의 통일이라는 표현에서 동일성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 역사는 중국의 경우 '진시황제'의 영토 통일 후에 펼친 '도량형통일'의 과정을 통해서도 드러납니다.
참고로 길이의 단위로 meter를 표준으로 삼았다면, 무게의 단위로는 gram이 표준 단위가 됩니다. 이 내용은 다음 기회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길이의 단위인 meter가 어떻게 생겼는가? 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일치된 의견은 없습니다. 개인적으로는 meter가 울타리의 막대 길이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물론 비슷한 길이로는 우리말에서는 '마'에 해당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한 길이를 옷감의 측량에서 사용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마'의 길이를 막대를 사용하여 계산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길이의 표준을 meter로 정했지만 그 길이는 정확히 나타내는 과정을 거치면서 현재에는 '빛이 진공상태에서 299792458초 분의 1초 동안 이동한 길이'라는 내용으로 정의되고 있습니다. 빛의 이동은 스티븐 호킹의 말에서처럼 '시간의 흐름'에 해당하고 빛의 흐름은 시간의 흐름으로 정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밀한 표준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Meter라는 길이가 존재하면서 다시 이 길이를 좀 더 정밀하게 나타낼 필요가 생겼습니다. 그때 등장한 기준이 cent입니다. Cent라는 말은 100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century(100년)이나 동전의 단위인 cent등에서 들을 수 있는 단어입니다. 1 Meter에 해당하는 길이를 100칸으로 똑같이 나누는 단위가 Centimeter라는 표현으로 사용되게 된 것입니다. Meter에서 기반한 길이의 단위를 다시 100칸으로 똑같이 쪼개는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가 사용하는 센티미터(centimeter)라는 좀 더 정밀한 길이 단위가 등장한 것입니다.
Meter를 100칸으로 나누는 centimeter가 등장한 후에 다시 centimeter를 10칸으로 똑같이 나누게 됩니다. 100칸으로 나눈 후에 다시 10칸을 추가하게 되면서 meter는 1000칸으로 길이의 단위가 나뉘게 됩니다. Meter를 100칸으로 나누었기에 centi라는 표현을 사용했다면 이제는 1000칸으로 나누는 경우에 필요한 용어가 등장합니다. 이때 등장한 단어가 1000을 의미하는 Mill입니다. Millenials라는 표현이나 millennium이라는 단어에서 볼 수 있듯이 Mil(l)은 1000을 의미합니다.
Meter를 기준으로 길이의 단위를 사용했기 때문에 Meter라는 말에 또 다른 숫자를 의미하는 용어가 결합되어 각각의 단위를 표현합니다. Centi, milli와 같이 더 작게 길이를 나누는 형태에서 더 큰 길이가 되는 경우에는 또 다른 단위 표현이 등장합니다. 대표적인 내용이 Kilo입니다. Kilo라는 말 역시 1000을 의미합니다. Kilo는 미터가 1000개 합쳐진 길이를 나타내는 용어로 등장하게 됩니다. Kilo meter가 1000 meter가 되는 원리입니다.
Meter 법에서 사용하는 meter의 발음에서 t는 모음과 모음 사이에 위치합니다. 영어의 발음에서 t가 모음 사이에 위치할 경우에는 t가 우리말의 리을과 유사한 형태로 발음됩니다. Water, waiter 등의 발음에서 볼 수 있습니다. Meter발음 역시 이 원리를 적용하면 '미터, 미러' 등의 발음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리브와 라이브 차이, live pronunciation difference (0) | 2023.08.17 |
---|---|
The origin of the word banana : 바나나의 어원과 발음 (0) | 2023.08.17 |
웨이퍼 뜻, 웨이퍼와 웨하스, wafers발음 (0) | 2023.08.15 |
굿바이, Good bye에 담긴 의미, : 고제윤 글자(새 한글) (0) | 2023.08.15 |
후르츠 영어로, fruits, 영어 f발음 (0) | 2023.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