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가위, 바위, 보 영어로, rock, scissors, paper : RPS게임

기호 언어학

by 새한글(고제윤) 2023. 8. 18. 13:41

본문

반응형

1. 가위, 바위, 보 게임

 가위, 바위, 보의 세 가지 손가락 모양으로 승부를 가르는 놀이는 그 유래에 대해서는 명확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이 놀이가 서양에 전래된 것은 일본인들에 의해서입니다. 과거에 우리말에서도 'Janken' 등의 발음으로 표현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놀이의 전래에 대해서 그 의미를 두고 보면, 영어 번역에서는 rock(바위), scissors(가위), paper(cloth, 보자기)라고 표현되는 방식이 있습니다.

 가위 바위 보의 또 다른 언어 표현 전래는 일본어의 하나, 둘, 셋과 연관 프랑스어 발음 'Chi-fou-mi'등에서 일본을 통해 서양으로 전래된 경우도 볼 수 있습니다.

 가위, 바위, 보 게임은 중국에서는 한나라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 것으로 보고되는 것을 볼 때 동양권에서는 꽤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오랜 세월 어린이들, 혹은 어른들 사이에서도 행해지는 놀이였을 것입니다.

 가위, 바위, 보 게임은 순환룰을 지니고 있습니다. 가위가 보를 이기고, 바위가 가위를 이기고, 보가 다시 바위를 이기는 방식입니다. 확률상으로 1/3을 지니는 공평한 게임이며, 운에 좌우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일종의 심리전을 바탕으로 확률을 높일 수는 있겠지만, 게임의 룰은 비교적 단순합니다.

2. 가위, 바위, 보 게임의 영어 번역

 가위, 바위, 보에 대해서는 우리말의 의미를 그대로 번역하여 사용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랫동안 동양에서 사용된 표현이 영어권에 전래되었을 때에는 그 의미를 바탕으로 모양과 연관지은 단어 번역이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가위에 해당하는 단어는 영어에서도 역시 scissors입니다. 바위에 해당하는 표현 역시 rock으로 번역되어 그 의미가 고스란히 전달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우리말에서 보자기에 해당하는 표현은 같은 의미를 지닌 'cloth'로 번역되어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paper(종이)라는 표현이 더 자주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가위, 바위, 보에 해당하는 가장 비슷한 모양의 단어로 번역되어 세계인들이 함께 공유하는 게임으로 정착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지극히 단순한 규칙과, 공평한 확률이라는 측면에서 가위, 바위, 보가 지닌 대중성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세계인이 공통으로 즐기는 놀이이면서, 그 발음의 유사성을 보이거나, 그 의미에 따른 전달이라는 것을 볼 때, 어떤 언어를 수용했는가 하는 것은 역사적 상황과 연관되었을 것입니다. 우리말 발음이 전래되었다면, '가위, 바위, 보'와 비슷한 발음이 되었을 것이지만, 놀이의 일반적인 전래 방법은 가위, 바위, 보라는 모양에 담긴 의미의 전래가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흔히 줄여서 RPS라고 표현하는 Rock, Paper, Scissors는 형태와 의미를 옮겨놓은 방식입니다.

3. Scissors의 발음 

 우리말에서는 사투리에서 '가새' 등으로 발음되는 '가위'는 영어 단어로는 scissors입니다. '자르다'의 의미를 가진 것에서 유해한 scissors는 '천을 자르는 도구'로서 옷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오늘날 scissors는 원래의 목적인 보자기(천)를 자르는 목적보다는 오늘날에는 '고기를 자르는 도구'로서 더 힘을 발휘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방식에서는 고기를 자르는 경우에 칼을 이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지만, 언제부터인지 고깃집에서는 '가위'가 대세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Scissors는 두개의 음절로 구성된 단어입니다. 또한 두 개의 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어 자체가 복수형을 의미하는 s가 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ss는 z발음이 되고 있고, 마지막 글자인 s 역시 z발음이 되는 단어입니다.

 영어의 z발음은 우리말의 '지읒'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나, 영어의 z는 우리말 지읒과는 다른 유성음의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영어의 z발음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1995년 이래로 "고제윤 글자(새 한글)"에서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글자인 '반치음(세모 모양의 글자)'를 되살려 표현하고 있습니다.

Scissors의 발음에서 z에 해당하는 소리를 반치음(세모 모양)으로 표기한 방식

 

 위의 글자 표기에서는 z을 지읒으로 표기하는 방식이 아니라, 반치음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영어의 z에 적합한 표기로 반치음을 적용하여 나타낸 것입니다. '지 절 즈'로 발음되는 원리 대신에 위의 글자로 표현한 것입니다. 각 소리에 맞는 일대일 대응 표기를 훈민정음 방식으로 표현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