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수학 집합 기호 영어로 읽기, Sets, Set-builder notaion

기호 언어학

by 새한글(고제윤) 2023. 8. 22. 13:55

본문

반응형
  목차
1. Sets 집합
2. 집합기호의 영어와 우리말 표현
3. 영어 발음의 "고제윤 글자(새한글)"표기

1. Sets 집합

 본 블로그의 목표인 영어 발음의 훈민정음 표기 원리 제시의 과정에서 우리는 기호가 어떻게 언어로 표현되는가? 하는 관점에서 접근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문자 기호가 되었건, 숫자 기호가 되었건 우리는 일정한 방식으로 기호를 읽어내고, 기호화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수학 단원 중에서 집합은 기호의 언어 표현을 어떻게 처리하는가? 하는 관점에서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합니다. 기호 문자가 어떻게 언어 표현과의 연관성을 지니고, 또 각 언어별로 어떻게 다른지를 이해하는 기본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집합을 표현하는 방법 중에서 대표적인 두 가지 방법은 집합의 표현 방법입니다. 영어로는 Set builder notaion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 집합 표현은 우리말에서는 원소 나열법이라는 표현과 조건 제시법이라는 내용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우선 기호로 표현하여 두 가지를 영어로 서술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set-builder notation, 집합 표현 방법

 집합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A={1, 2, 3,...,49}처럼 표현하는 방법은 집합의 원소를 하나씩 나열했다는 점에서 '원소 나열법'이라고 부르고 이를 문장으로 표현하면 '조건 제시법'이라고 합니다. A={xlx는 50보다 작은 자연수}가 위의 도표의 내용입니다.

2. 집합 기호의 영어와 우리말 표현

 기호를 읽는 방법에서 '조건 제시법'이라고 표현한 내용을 영어로 표현하면 "A is the set of numbers x such that x is a natural number less than 50"라고 표현합니다. 이 말을 우리말로 옮기면 "집합 A는 50보다 작은 수들의 모임"이라는 표현이 됩니다.

 영어 표현과 우리말 표현을 보면 다른점을 볼 수 있습니다. 영어 표현을 보면 기호를 오른쪽에서 순서대로 읽어나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수학기호와 알파벳을 읽어나가는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A는 A로 읽고 =는 is로 읽습니다. 같은 순서로 '{x'는 the set of numbers가 됩니다. 그다음 기호인 ㅣ은 언어 표현으로는 'such that'이 됩니다. 이어지는 영어 문장은 그대로 "x is a natural number less than 50"로 읽어나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기호와 문자 체계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대로 기호의 의미를 언어로 변환하여 읽어나가는 것입니다. 이러한 특성은 수학 기호가 알파벳과 연관되어있다는 점과 영어로 표현된 문장 구조에 기인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기호화 되어있는 내용을 우리말로 옮기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나가는 방식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만약 기호 순서대로 읽는다면 "A는 이다 숫자들의 집합 x, 다음과 같은 x는 이다 자연수 50보다 작은"이 됩니다. 문자 기호를 그대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나간 것입니다. 이렇게 표현되면 우리의 언어 구조에서는 굉장히 혼란스럽게 받아들이게 될 것입니다. 기호를 언어 표현으로 바꾸면서 그대로 읽어가는 방식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언어 구조는 이처럼 다르기 때문에 숫자나 문자 기호를 읽어나가는 과정에서 일종의 변환이 필요하고, 모국어의 언어 구조가 지닌 특성으로 기호를 그대로 따라 읽어가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문자 기호나 숫자 기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일정한 변환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집합의 표현.hwp
0.02MB

3. 영어 발음의 "고제윤 글자(새한글) 표기"

 영어 발음도 일종의 기호화된 언어입니다. 이 기호를 어떻게 우리말로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1995년 이래로 "고제윤 글자(새 한글)" 훈민정음 표기 원리에 몇 가지 문자 기호를 추가하여 표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오늘의 집합 기호를 읽는 원리에서 처럼 우리말 고유의 특성과 우리글의 원리를 적용하여 변환과정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이때 우리글이 지닌 음소 표기의 원리를 훈민정음 방식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오늘의 집합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인 set의 경우도 [세트]가 아닌 [셑]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받침 표기의 원리는 훈민정음이 알파벳과 다르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쭉 읽어나가는 방식이 아니라, 하나의 호흡을 하나의 글자로 표기하는 방법입니다. Set의 경우 알파벳 방식으로 표현하면 [ㅅ ㅔ ㅌ]가 됩니다. 이를 훈민정음 방식으로 표현하면 [셑]이 됩니다. 언뜻 그 차이가 느껴지지 않을 수 있지만 [세트]에서는 원래에는 없는 영어 소리 [으]가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음소를 하나의 소리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모음을 추가한 표기 방식입니다.

 문자 기호를 읽는 원리는 위에서 제시한 집합의 영어 표현과 우리말 표현이 다른 것처럼, 그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납니다. 이 방식을 조화시키는 원리로 "고제윤 글자(새 한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