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ozone, O3, 오존 영어 발음, 고제윤 글자 표기

기호 언어학

by 새한글(고제윤) 2023. 8. 21. 21:48

본문

반응형

1. Ozone, O3 의미

 기후 변화에 대해서 연구하는 NOAA(National Organic & Atmospheric Organization)는 UN산하의 기후 변화 위원회(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극지방의 오존층 파괴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것을 꾸준히 제기하고 있습니다. UN에서 관심을 가져야 할 만큼 전 지구적인 문제로, 오늘 현재에도 지구촌 곳곳에서 심각한 '기상이변'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주변 해역에서도 꾸준한 기온 상승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연근해에서는 열대성 어류가 보고 되고 있기도 하고, 과일의 북방한계선이 꾸준히 올라가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자연환경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고, 그 원인 중의 하나가 오존층(Ozone layer)의 파괴가 지목되고 있습니다.

 Ozone은 화학기호로는 O3입니다. O는 Oxygen(산소)를 의미하며, 산소의 3개 결합구조로 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O3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Ozone이라는 이름은 독일의 화학자 Christian Friedrich Schönbein입니다. Ozone이라는 이름은 그리스어에서 가져온 말로 원래의 의미는 '냄새나는 것(to smell)'에 해당합니다. 물론 Oxygen(산소) zone(지역)으로 이해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오존은 산소를 그 성분으로 하고 있지만, 산소가 냄새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ozone은 냄새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Ozone의 기능

  Ozone은 산소에 비해서 불안정한 구조를 지니고 있지만 그 역할에서 만큼은 지구에 전달되는 태양의 전파 중에서 자외선(Ultra Violet)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Ozone이 하나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의 효과를 발휘하고, 그 결과로 지구의 기후 변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Ozone층이 파괴되면서 지구에 전달되는 자외선이 제대로 차단되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자외선이라는 말은 한자어로 보라색 자, 바깥 외, 줄 선에 해당합니다. 보라색 바깥에 있는 전파라고 할 수 있는데 이 말이 영어로는 Ultraviolet rays라고 할 수 있습니다.

 태양에서 지구로 오는 빛은 크게 세 가지의 광선으로 나뉩니다. 우리가 흔히 무지개 빛에서 볼 수 있는 빛의 색깔은 우리 눈으로 관찰 가능하다는 의미에서 '가시광선'이라고 부릅니다. 가시광선이라는 말은 한자어로, 가능할 가, 볼 시, 빛 광, 줄 선에 해당하는 의미로 '눈으로 볼 수 있는 광선'입니다. 무지갯빛을 생각해 보면 일곱 개의 빛깔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프리즘을 통과시켜도 일곱 개의 색깔을 볼 수 있습니다.

 각각의 색깔은 '빨, 주, 노, 초, 파, 남, 보'라고 합니다. 다시 이 색깔을 한자로 표현하면 빨강은 '붉을 적'자를 사용합니다. 빨간빛 바깥에 에는 광선은 한자어로 '적외선'이 되는 것입니다. 또한 보라색을 한자로 표현하면 '보라색 자'에 해당합니다. 보라색 바깥에 있는 광선이라는 의미에서 자외선이 됩니다. 영어 단어 ultra(초월, 넘어서는) viloet(보라색)을 한자어로 번역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3. Ozone의 영어 발음

 Ozone으로 표현된 단어에서 특징적인 발음은 z입니다. 영어 단어에서 z는 우리말에 없는 소리입니다. 알파벳의 z를 보통 우리는 '지읒'으로 이해하고 있으나, 그 발음이 '유성음'이라는 점에서 우리말 지읒과는 다른 소리입니다.

 영어의 z에 해당하는 소리를 1995년 이래로 "고제윤 글자(새 한글)"에서는 반치음(세모 모양의 글자)을 사용하여 나타내고 있습니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 존재했던 글자 표기로 오늘날 우리가 '가을'이라고 하는 글자에도 사용되었었습니다. 이 표기를 되살려서 아래의 글자처럼 표현하였습니다.

Ozone의 고제윤 글자 발음 표기

 위의 글자에서 볼 수 있듯이 알파벳의 z에 해당하는 자리에 반치음(세모 모양의 글자)으로 나타내는 방식입니다. 훈민정음 표기 원리를 적용하여 표현한 것입니다.

 반치음을 영어의 z와 가장 유사한 글자 표기였을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시옷, 지읒으로 연결되는 글자 표기라는 점에서 시옷, 지읒과 발음 방식이 같았을 것이라는 점과, 유성음의 특성을 지녔던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입니다. 이 표기 원리는 영어의 z에 가장 가까운 소리로 정의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