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영어로, 골뱅이 기호 영어 의미와 발음 : at sign

기호 언어학

by 새한글(고제윤) 2023. 8. 22. 16:35

본문

반응형
 목차
1. 인터넷 주소 @
2. 기호의 다양한 이름
3. at 발음과 의미

1. 인터넷 주소 @

 영어의 at이 전치사로 쓰일 때에는 좁은 장소 앞에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인터넷에서도 일종의 주소와 같은 개념으로 홈페이지나 이메일 등의 주소를 입력합니다. 인터넷 주소창에서 @은 영어 단어로는 at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흔히 '골뱅이'라고 부르고 있는 명칭입니다. 골뱅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먹는 어패류 중의 하나이기에 '골뱅이'라는 이름을 붙인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넷 초기에는 at이라고 발음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으나, 지금은 거의 '골뱅이'라고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인터넷 주소에 사용되는 @기호는 Tomlinson에 의해서 Arpanet을 통해 다른 사람과의 메시지 전달 기호로 사용되면서 오늘날 인터넷 주소로 널리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Tomlinson이 다른 사람의 컴퓨터와 메시지를 주고받는 기호로 @기호가 오늘날 빈번하게 사용되는 기호가 되었지만 인터넷 주소로 @기호가 사용되기 이전에 @기호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는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기록상으로 1536년 Francesco Lapi라는 상인에 의한 것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 기호를 우리나라에서는 언제부터 '골뱅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는지를 알 수 없지만, 우리는 기호의 모양이 골뱅이와 비슷하다는 점에서는 동의를 하는 것 같습니다. 제 제자들 중에서는 @ 기호를 '버터링(과자 이름)'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에 대해서는 나라별로 다른 이름을 붙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탈리아 사람들은 sanil로 표현하기도 하고, 네덜란드 사람들은 monkey tail과 같은 이름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달팽이로 표현하건, 원숭이 꼬리로 표현하건, 혹은 우리나라에서처럼 골뱅이로 부르건 기호는 똑같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 기호의 다양한 이름

 골뱅이에 해당하는 가장 비슷한 단어가 whelk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달팽이(snail) 역시 골뱅이와 그 형태가 비슷하기에 기호에 대한 인식에서는 인류가 비슷하게 생각하는 경향도 있는 듯합니다. 동물은 비슷한 형태라고 하더라도 좀 더 세부적으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어서 달팽이, 고동, 쇠고동, 골뱅이 등에서는 비슷한 형태를 지니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기호에 대해서 @ 기호를 우리가 '골뱅이'라고 발음하는 것처럼 비슷한 기호나 문자로 발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영어의  dollar에 해당하는 기호 $을 우리는 '불'이라고 합니다. 이 발음은 한자어 불(弗)과 그 형태가 비슷하다는 점에서 생긴 발음입니다. Dollar(달러)라고 발음하는 대신에 가장 비슷한 형태의 한자어 발음으로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비슷한 경우에 #기호를 한자어 우물 정(井) 자에 빗대어서 표현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기호를 sharp라고 발음하는 경우도 있고 hash라고 발음하는 경우도 있으며, '우물 정'자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도 볼 수 있습니다.

3. at 발음과 의미

 영어 단어 at은 우리말로는 '~에'에 해당합니다. 주로 좁은 지역을 의미할 때 사용되는 전치사의 기능을 합니다. At school(학교에서), at home(집에서)처럼 표현될 때 쓰이는 단어입니다.

 영어 단어 at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at, 골뱅이, 달팽이

 위의 글자 표기는 [ æt]을 훈민정음 방식으로 표기한 것입니다. 현재의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받침으로 티읕을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본 블로그는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것이 아니라, 발음 표기를 위한 내용이므로 발음의 음소에 맞춰 훈민정음 방식으로 표현하였습니다. 현재의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받침에 기역, 니은, 리을, 미음, 비읍, 시옷, 이응의 7개 만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위의 발음기호로 표현된 소리를 훈민정음 창제 원리인 모음을 중심으로 하나의 글자를 만드는 원리로 표현한 것입니다. 또한 at은 그 문법적 기능이 전치사에 해당하므로 약하게 발음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실제 발음에서는 [앹]보다는 [엍]에 가까운 소리로 표현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