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더블유의 의미와 더블 브이 글자, 원화 기호 won : origin

기호 언어학

by 새한글(고제윤) 2023. 8. 21. 13:53

본문

반응형
 목 차
1. 영어모음(vowel)과 W
2. 원화와 won
3. uu의 발음

1. 영어모음(Vowel)과  W

 알파벳 문자 중의 하나인 W는 영어 알파벳에서는 가장 늦게 사용되기 시작한 문자입니다. W는 영어의 음운 체계에서 보면 모음에 가깝습니다. 대략 11~12 세기 무렵부터 두 개의 유(u)를 대신하는 글자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영어의 글자에서 모음을 표현하는 다섯 개의 알파벳, a, e, i, o, u이 있습니다. 다양한 모음을 표기하기 위해서는 부족한 숫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의 한글에도 11개의 모음 표기가 사용되는 것과 비추어 보더라도 모음을 표현하는 문자가 현저하게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알파벳 다섯 개로 수많은 모음을 표기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섯 개의 모음을 섞어서 표기하거나, 하나의 모음이 여러 가지 소리로 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모음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방법이 하나의 글자로 다양한 소리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a'라는 글자 하나로 '어, 에이, 아' 등을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Banana, bake, park의 공통된 a가 서로 다르게 소리 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모음 하나로 여러개의 소리를 표현하는 방법 외에도 모음을 반복하거나 섞어서 표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Good, soon에서 볼 수 있듯이 모음 o를 반복하는 방법이 있고, couple에서 보듯이 모음 o와 모음 u를 함께 배열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W는 그 글자의 특성이 모음 u가 반복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었을 것으로 생각하는 이유입니다. Double u라는 말에서 볼 수 있듯이 두 개의 u가 사용된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그런데 글자의 모양을 보면 v가 두 개인 것처럼 보입니다. V를 두 번 표기하는 방법 VV처럼 표현했을 때 W의 모양에 더 가까운 것을 볼 수 있습니다. W는 글자의 모양에서는 자음이었던 V를 합친 모양을 하고 있지만, 소리에서는 모음인 u를 두 번 겹치는 소리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W가 모양으로는 u보다는 v의 형태를 취하고 있더라도 그 소리 표현에서는 u를 대체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double u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W가 우리말에서는 정확히 어떤 소리인가 하는 점에서도 명확히 규명하기 어려운 이유이기도 합니다. U를 두 번 소리 내기 때문에 '우'라고 볼 수 있지만 맨 앞에 쓰이는 경우에는 그 소리를 규정하기가 애매한 것도 사실입니다.

 2. 원화 와 won

 대한민국의 화폐 단위는 '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호로 표현되는 '원'화는 won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원'의 발음을 기준으로 하면 언뜻 '우'와의 연관성을 볼 수 있습니다. 엄밀하게 우리글에서 '우'로 표현된 글자는 위에 표시된 이응은 소리가 나지 않는 기호입니다. 세종대왕은 이응을 원래는 소리가 없는 경우에 표현했습니다. "세종어제훈민정음"에서 한자어 발음에 이응을 표현한 것이 그 예입니다. 사람의 소리가 완벽하고, 글자가 완전한 형태를 이루는 방법이 초성, 중성, 종성이 합쳐진 상태로 보았기 때문입니다. 세 개의 소리인 초성, 중성, 종성은 하늘, 땅, 사람이라는 세 개의 극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이 경우에 받침에 소리가 없을 경우에는 이응을 표시하여 완벽한 글자 모양을 구성하는 방안으로 제시한 것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이응으로 사용하는 글자는 소리가 없는 곳에 표현하는 글자였고, 소리가 있는 경우에는 이응 위에 꼭지가 있는 형태로 나타냈었습니다.

 영어의  W와 같은 경우를 표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이응 위에 가로로 한 줄을 그은 글자 (여린 이응)가 유용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모음이라고 보기에도 애매하고, 자음으로 보기에도 애매한 그 중간의 어떤 소리가 있음을 세종대왕은 이해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개인적으로 영어의 w처럼 모음이라고 보기에도 애매하고, 자음으로 보기에도 애매한 상황에서 '반모음, 반자음'으로 표현하는 글자로 가장 가까운 표기는 '여린 이응'일 것으로 추정해 봅니다. 이 글자 표기는 1995년 "고제윤 글자(한글영어)"에서 w발음 자리에 사용하여 표현한 바가 있습니다.

w 글자의 유래 : double u, double v

3. uu의 발음

 영어에 사용되는 알파벳 w가 의미하는 것처럼 'double u'의 발음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오늘날에도 w가 사용되는 곳에는 여전히 '우' 발음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영어 단어에서 how, cow에서 볼 수 있듯이, w는 '우'발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위의 글자를 houu, couu로 표현하는 것보다는 how, cow로 표현하는 것이 경제적이고, 훨씬 더 직관적으로 인식하기 쉽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을 것입니다.

 우리의 알파벳 표기에서도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이어받은 글자 표기 원리를 적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라는 말을 표현할 때 'oori'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지만 w를 넣어서 'Woori'라고 표기하는 경우를 봅니다. 중복되는 '우'가 보임에도 불구하고 w를 넣어서 'Woori'라고 표기할 때 더 문자 기호적 측면에서 명확하다고 보기 때문일 것입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