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비아 숫자가 전 인류가 사용하는 숫자 기호로 사용되게 된 것은 자릿값의 원리를 바탕으로 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0부터 9까지의 9개의 기호를 어떤 위치에 배열했는가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지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숫자인 23을 나열한 것으로 2는 십의 자리에 있고, 3은 1의 자리에 있음으로 인해서 2는 20이라는 값이 되고 3은 3의 값을 갖습니다. 만약 같은 숫자인 222 세 개의 숫자를 나열한 경우라면 그 숫자 기호는 2로 동일합니다. 그러나 위치가 어딘가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집니다. 이는 십진법의 원리와 연결됩니다. 맨 앞에 나온 2는 10을 두 번 곱한 값인 100을 의미합니다. 가운데의 2는 10을 한 번 곱한 값인 10을 의미하며, 맨 마지막 2는 십을 0번 곱한 값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222는 같은 기호인 2를 사용하고 있더라도, 백, 십 그리고 일의 단위에 이르는 값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이에 비해서 로마숫자는 자리값의 표현보다는 일종의 덧셈, 뺄셈의 원리가 작용합니다. 로마숫자에서 V는 5를 의미합니다. 또 다른 숫자 기호인 i는 1을 의미합니다. 로마 숫자의 원리를 보면 i가 하나 있으면 1이 됩니다. ii가 된다고 하면 아라비아숫자의 원리에 의하면 11을 의미할 것입니다. 로마 숫자는 ii는 1+1=2가 되는 값을 갖습니다. 숫자에서 자리에 상관없이 i는 1이며 그 값이 덧셈으로 계산이 됩니다. 로마숫자의 방식과 같이 적용되는 숫자 표현이 한자에도 있습니다. 한자의 경우 一이 1을 의미합니다. 이 기호를 위로 쌓아가면 二가 됩니다. 한자는 아래에서 위로 쌓아가는 방식으로 숫자를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로마숫자는 옆으로 나열하는 방식입니다. 二와 ii가 같은 값을 갖는 과정이 가로와 세로라는 방법으로 나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한자와 로마숫자의 처음 세 개 까지는 공통적으로 쌓기와 나열하기의 방법입니다. 1, 2, 3까지는 i, ii, iii, 一, 二 三, 처럼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초기 인류가 숫자를 인식하고 사용하는 과정과 닮아있을 것이라고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인류가 숫자를 사용할 필요성은 아마도 가축을 기르면서, 혹은 농경을 시작하면서 부터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흔히 말하는 '신석기혁명'의 과정을 거치면서 숫자의 개념이 필요했을 것입니다. 이때 상황에서 어떤 가축을 기르는 경우를 생각해 보면 해가 져서 집안에 있는 가축을 셈한다고 생각할 때 가축과 숫자 사이의 일대일 대응의 방식을 사용했을 것으로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많지 않은 숫자를 셈한다고 하면 막대기나 손가락과 같은 도구를 사용했을 것입니다. 가축 하나에 하나의 막대나 손가락으로 대응시키는 방법이었을 것입니다. 이 방식이 숫자 기호를 사용할 때 가로 세로로 길쭉한 모양을 하나씩 나열하는 방법으로 표현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인류가 사용한 숫자의 형태를 보면 1, 2, 3까지가 막대 모양의 기호를 하나씩 나열하는 방법이었다면, 4부터는 좀 더 복잡한 기호로 변환됩니다. 한자의 경우에는 四는 앞의 1, 2, 3과는 다르게 좀 더 복잡한 형태로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로마숫자의 경우에는 iv형태입니다. i를 네 번 사용하는 대신에 iv로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숫자에는 뺄셈의 원리가 적용됩니다. V가 기본이며 이 숫자의 오른쪽은 덧셈, 왼쪽은 뺄셈을 의미합니다. iv는 v에 해당하는 5에 왼쪽에 i(1)이 있으므로 그 값은 5-1=4가됩니다. 이에 비해서 만약 vi처럼 오른쪽에 위치하면 v(5)+i(1)=6이 됩니다. 10을 의미하는 x의 경우에도 왼쪽에 i가 있으면 9가 되고, 오른쪽에 i가 있으면 11을 나타냅니다.
셋 이상의 숫자는 언어 표현에서도 등장합니다. 영어의 어원으로 볼 때 one, two,다음에 나오는 three는 어원으로 볼 때 '많음'을 의미합니다. 초기의 인류들이 숫자를 언어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three이상은 많음이라는 의미와 연관되었을 것을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아라비아 숫자로 표현된 숫자를 언어로 표현하는 과정에서는 서양과 동양의 단위 기준의 표시기호가 다릅니다. 서양의 기준으로는 세 개의 숫자마다 끊어 읽기 기호를 넣습니다. 예를 들어 123,456과 같이 세 개씩 그 단위를 표현하는 언어가 존재합니다. 영어의 경우 세 개의 숫자를 읽고 그다음에 숫자 단위가 들어갑니다. 123 뒤의 ', '는 thousand라는 숫자 단위를 갖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서 동양의 숫자는 네 개의 단위를 갖고 있습니다. 12,3456처럼 ', '자리에 '만(萬)'이라는 숫자 단위로 표현합니다. 네 개의 숫자는 언제나 같은 천 단위의 쌍으로 구성됩니다. '십이만 삼천사백오십육'처럼 읽는 것입니다. 네 개의 단위를 한 묶음으로 하여 숫자를 언어로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수학 미분 기호의 의미 (0) | 2023.07.22 |
---|---|
영어 줄임 말과 줄임 글자의 기호학, (0) | 2023.07.21 |
Root(루트)기호에 담긴 언어적 의미와 계산 원리 (0) | 2023.07.20 |
방정식의 유래와 원리, equation, (0) | 2023.07.20 |
환영합니다! 새한글(고제윤)입니다. (0) | 2023.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