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메이데이 뜻, mayday, 사람 살려, Help me : Meaning

기호 언어학

by 새한글(고제윤) 2023. 8. 28. 21:24

본문

반응형

1. Mayday와 Help me

 영어 단어에서 사용되는 'Mayday'는 글자 만을 놓고 보면 'May(5월) day(날)'처럼 보입니다. 언뜻 생각해 보면 '구조' 신호라고 보기에 근거가 불분명해 보입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프랑스어의 "Help me"에 해당하는 발음이 'M aider'입니다. 이 말이 영어에서 사용되면서 비슷한 발음인 'mayday'가 된 것입니다.

 프랑스어에서 예를 들어 " pouvez-vous m’aider"라는 말을 영어로 옮기면 "Can you help me, "가 됩니다. 여기에서 관심을 가질 부분이 m'aider입니다. m'를 영어로 옮기면 'me'에 해당하고, aider라는 말은 영어 단어에서 돕다에 해당하는 'aid'와 연관성을 갖게 됩니다. M'aider를 영어로 옮기면 "Aid me!"에 해당하고 영어 표현에서는 aid라는 단어 대신에 help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영어에서는 "Help me!"라는 의미를 갖게 됩니다.

 'M'aider'라는 프랑스어가 영어에서는 "Help me!"라고 표현되기도 하지만, 프랑스어 자체의 발음이 그대로 영어에 들어와서 'mayday'라는 표현이 생긴 것입니다. 'Mayday'라는 발음이 구조 신호에서 똑같이 사용되는 원리입니다.

2. Help me와 Mayday 그리고 사람 살려

 구조를 요청하는 언어 표현에서 신기한 내용도 관찰됩니다. 영어의 Help me를 그대로 번역하면 "나를 도와주세요!"정도가 될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M'aider에서도 "Aid me!"라고 표현됩니다. 마찬가지로 "나를 도와주세요!"에 해당합니다. 위의 두 가지 표현이 똑같이 '나'를 중심으로 구조 요청을 표현합니다.

 이에 비해서 우리말 구조 신호는 "사람 살려!"입니다. "사람 좀 살려 주세요!"라는 표현도 사용합니다. 희한하게도 "나 살려!"라는 표현은 거의 없습니다.

 이 두 개의 언어 표현을 놓고 보면 '나'라는 개인 존재에 대한 구조 요청과, '사람'이라는 어떤 특정되지 않은 객체에 대한 구조 요청입니다. 특정된 어떤 개인의 표현이 '나'라고 한다면, '사람'이라는 언어 표현에는 특정된 사람을 지칭하지는 않습니다. 그저 '인간 존재'에 대한 구조 요청을 담고 있습니다.

 이러한 언어 표현은 '우리'라는 말속에도 존재합니다. 정말 당황스러운 사례이겠지만 만약 우리나라의 대표기업인 삼성전자에 다니는 어떤 직원이 외국인에게 삼성전자를 소개하면서 '내 회사" 혹은 '우리 회사'라고 그대로 우리말을 영어로 옮겼다면 많이 당황하거나, 아니면, 어쩌면 삼성전자의 owner로 인식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각 언어가 고유의 정체성을 지니고 있음은 이러한 언어 표현에서도 드러납니다. 문맥을 바탕으로 해당 문화권이나, 언어권에서는 그 표현을 충분히 이해하는 토양이 존재합니다. 그러기에 '우리 남편, 우리 아내'라는 표현에서도 우리는 그 우리를 이해하게 마련입니다.

3. Help발음

 오늘의 영어 발음은 구조 표현에서 사용되는 help라는 단어입니다. Help라는 단어는 끝 부분에 자음 l과 p두 개가 겹쳐있습니다.  Help에 해당하는 발음을 "고제윤 글자(새 한글)"의 표기 방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Help의 발음 "고제윤 글자(새한글)"표기

 위의 글자는 알파벳의 가로 쓰기 방식인 help를 훈민정음 방식의 소리 표기 원리에 맞춰, 초성, 중성, 종성을 하나의 글자로 배합하여 나타낸 것입니다. 받침으로 l에 해당하는 리을과 p에 해당하는 피읖을 함께 표기하였습니다. 'ㅎ ㅔ ㄹ ㅍ'으로 나열되는 음소를 훈민정음의 표기 원리인 분절음 표기로 변환하여 나타낸 것입니다.

 Help의 발음 표기에서 볼 수 있는 받침에 두 개의 자음을 표기하는 방식은 현재의 한글에도 많이 남아있습니다. '삶, 흙, 닭,....'등의 글자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들 글자의 특징은 자음을 겹쳐서 나타내고 있다는 점입니다. 오늘의 영어 단어 help 역시 본 블로그의 다른 글자 표기와 다르게 현재의 한글로도 위의 글자가 완성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