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soap와 soap opera, 비누 영어로

기호 언어학

by 새한글(고제윤) 2023. 8. 28. 12:58

본문

1. 비누의 어원

 조선시대 "박통사언해(1677)"에서 등장하는 표현 중의 하나가 '비노'입니다. '비노'라는 발음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 조상들이 손을 씻는 도구로서 '비누'를 오랫동안 사용해 왔던 것으로 보입니다. 당시의 비누는 콩이나 팥 등의 자연 재료를 갈아서 만들었고, 머리를 감는 도구로도 사용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창포'라는 말이 인도에서 유래한 'shampoo'라는 말과 그 유사성을 찾을 수 있듯이, 위생을 위해서 씻는 도구로서 비누 역시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제조법이나 형태가 오늘날의 비누와 같다고 할 수는 없지만 위생을 위한 도구로서의 기능 측면에서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서양의 경우에도 오랫동안 몸을 씻기 위해 지방 성분이 많은 우유와 같은 재료를 사용해서 목욕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흔한 물건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인간의 몸을 씻기 위한 도구로서 비누는 꼭 필요한 재료였을 것입니다.

 비누가 오늘날과 같이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은 18세기에 Nicolas Leblanc가 세탁 소다의 대량 생산 방법을 개발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다의 대량 생산이 이루어지면서 저렴한 가격으로 비누 제조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세탁 소다의 생산이 이루어진 이후로 글리세린을 첨가하는 비누 제조법이 개발되면서 오늘날과 같은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오늘날과 같은 비누가 전래되면서 '비누'라는 표현으로 정착하기 이전에는 '사분'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지금도 '사분'이라는 표현을 기억하는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비누라는 표현이 대세로 정착하면서 지금은 '비누'가 보편적인 용어가 되었습니다.

 비누 제조 기술 덕분에 이제는 가정에서도 필요한 성분이나 재료를 바탕으로 비누를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물론 과거에도 비누, 특히 빨래비누를 가정에서 제조하여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2. 비누의 경제적 효용

 비누에 관해서 경제적 가치를 생각해보면 보통의 비누가 지닌 가격과 사용기간을 고려해 볼 때 코로나 19 이후의 마스크의 가격과 견주어 볼 수 있습니다. 위생을 위해서 그리고 세균 침투를 막는 기능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를 본다면 마스크 하나가 700원~1000원이고, 비누 하나가 3000원이라고 하더라도, 사용 기간 대비 경제적 효용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에 손을 씻는 행위만으로도 대부분의 세균을 씻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마스크에 비해서도 비누가 가진 효용을 높게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단순하게 계산하여 마스크를 하루에 하나씩 사용한다면 비누는 3일이면 다 닳게 사용해도 그 값을 한다는 의미가 될 것입니다.

 코로나 19를 겪으면서 많은 사람들이 마스크 사용에 대해서 관심을 가졌고, 오랫동안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진 마스크를 애용했습니다. 그에 못지않게 비누를 활용한 손 씻기의 효과는 질병 예방의 차원에서도 많은 기여를 한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3. soap와 soap opera

 비누의 효용이 높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면서 비누 제조 회사는 마케팅 활동에도 주력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미국에서는 TV가 보급되면서 '광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습니다. 비누의 대중화는 TV광고를 통해서 더욱 확산되게 되었음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TV광고의 앞 뒤에 붙는 대표적인 광고가 '비누' 광고였습니다.

 TV광고는 시대를 반영하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핫 미디어의 특성과 시청각을 자극하는 TV에서 '비누'광고가 유행하였기에 TV드라마라는 표현 대신에 'soap opera'라는 영어 단어도 생겨났습니다. TV 드라마의 앞 뒤에 'soap'광고가 많이 방영되었기에 오페라(opera)라는 표현에 비누라는 말이 붙게 된 것입니다.

soap과 soup발음 비교

4. soap과 soup

 한국어의 구조에서 비누를 의미하는 soap과 혼동하는 단어로 soup이 있습니다. 발음만을 놓고 보면 발음을 그대로 옮긴 soup이 비누에 해당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위의 글자 표기는 이 둘을 구별하는 발음 표기입니다. 1995년 이래로 "고제윤 글자(새 한글)"에서 개발한 방식으로 표기한 것입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