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외래어나 외국어에서 '러브'로 발음되는 영어 단어는 love와 rub의 두 가지 단어입니다. Love의 발음은 '사랑하다'에 해당하는 단어이며 자주 표현되는 "I love you."에서 들을 수 있습니다. Rub로 표현되는 단어는 '문지르다'에 해당하는 단어입니다. "She rubbed her hands in delight(그녀는 기쁨에 겨워 그녀의 손을 문질렀다.)"에서 볼 수 있듯이 rub는 '문지르다'에 해당하는 단어입니다.
한국어 발음에서 love와 rub가 같이 발음되는 것은 l과 r을 둘 다 '리을'로 생각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L과 r을 둘 다 '리을'소리로 인식하는 데에는 두 개의 발음이 '리을' 발음과의 유사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L과 r은 언뜻 우리말 '리을'과 비슷한 소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엄밀하게 구별하면 L발음은 리을이 두 번 발음되는 소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r발음은 우리말의 '우'나 '오'가 섞인 발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L이 '리을'을 두 번 발음하는 경향은 비교적 정확하게 표현되고 있습니다. black이라는 발음을 보면 '블랙'과 같이 발음을 하고 있습니다. [ㅂ ㄹ ㄹ ㅐ ㅋ]에 해당하는 발음 표기로 나타내보면 리을이 두 번 겹쳐서 소리 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자음과 겹치거나 단어의 중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명확히 리을을 두 번 발음하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반면에 리을이 맨 앞에 나오는 경우에는 리을을 두 번 발음하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love에서 처럼 리을이 한 번 발음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리을을 두 번 발음한다는 것이 어떤 방식으로 발음을 할 경우에 해당하는지는 한국어의 기준으로는 '을'의 입모양을 한 후에 리을을 발음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Love의 경우에는 '(을)럽'처럼 발음하는 방법이 될 것입니다.
R소리의 경우에는 리을을 두 번 발음하는 대신에 '오'나 '우'를 섞은 발음인 '루, 로' 등으로 발음하면 영어의 r에 상당히 가까운 소리가 됩니다. Rub의 경우에는 [뤕]과 같이 발음하는 방법이 됩니다.
위에서 볼 수 있듯이 love와 rub는 1995년 이래로 영어 발음을 표기하는 "고제윤 글자(새 한글)"의 표기 원리를 바탕으로 표현하면 서로 완전히 다른 글자가 됩니다. Love의 경우에는 l의 특성을 살려서 리을을 두 번 표현하였습니다. 소리를 내는 방법은 앞의 리을은 거의 소리를 내지 않고 입모양을 '을'의 상태에서 '러'발음으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이에 비해서 rub의 경우에는 아마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위의 글자를 읽을 수 있을 것입니다.
Love의 발음에서 보이는 또 다른 특징은 영어의 v소리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비읍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글자(비읍 순경음)를 사용하여 나타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Rub의 b는 비읍으로 표현하고 love의 v는 비읍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글자를 사용하여 구별한 것입니다.
알파벳은 그 표현의 방법이 각각의 음소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열하는 방법입니다. 왼쪽에서 각각의 소리에 해당하는 소리를 연결하여 발음합니다. 반면에 훈민정음의 독특한 표현 원리는 소리 단위를 사용하여 나타냅니다. 초성, 중성, 종성의 세 가지 소리를 하나의 글자로 완성하여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각각의 소리를 위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나가면서 받침소리를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Love와 rub의 "고제윤 글자 표기"는 영어 발음을 표현한 것이므로 영어를 읽는 방법으로 위의 글자를 읽어나가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글자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나가는 기본 원칙에 덧붙여 받침에 해당하는 소리는 우리말처럼 읽는 것이 아니라 영어의 발음에 맞춰 약간 흘리듯이 약하게 발음하는 방법으로 읽으면 됩니다.
퀸카 영어로, queen card, 퀸 카드와 퀸카 : Meaning (0) | 2023.09.03 |
---|---|
mart발음 표기, 맕 글자로 본 고제윤 글자 표기의 원리 (0) | 2023.09.03 |
MZ세대 영어 발음, Millenials : Meaning & Pronunciation (0) | 2023.09.02 |
와이프 wife-wipe발음 구별의 방법 : 고제윤 글자 (0) | 2023.09.02 |
fine-pine의 구별 발음 distinctive feature : 고제윤 글자 (0) | 2023.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