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수요 공급 영어로, demand supply, : 고제윤 글자

기호 언어학

by 새한글(고제윤) 2023. 9. 9. 15:16

본문

반응형

 수요 공급의 경제학 원리

 경제학의 이론적 체계의 핵심은 수요와 공급에 의한 시장 구조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자본주의 경제학에서 주요 주제로 다루는 '시장 가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수요와 공급이 일치되는 지점에서 형성되는 균형 원리입니다.

 Adam Smith 이래로 시장 가격은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s)'에 의해서 시장 가격이 조절되고 그 바탕에는 수요와 공급의 원리가 작동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1) 수요

 '수요'라는 한자어는 '구할 수 요구할 요'에 해당합니다. 어떤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하거나 요구하는 상태가 '수요'라는 말에 담겨 있습니다. 물건이나 서비스를 요구하는 사람은 '소비자'가 되는 것이고, 시장에 참여하는 소비자는 경제적 원리를 갖고 가격 대비 물건이나 서비스를 소비하게 된다는 점에서 수요자는 소비자와 연결됩니다. 예를 들어 지금 배가 고파 '빵'을 사 먹고 싶다는 수요가 생기면 이 수요는 시장 참여자인 소비자가 될 것입니다. '수요'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는 demand입니다.

 2) 공급

 '공급'에 해당하는 한자어는 '줄 공, 이바지할 공, 공급할 급'에 해당합니다. 물건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람이 '생산자'가 되고, 공급자는 곧 생산자와 연결됩니다. 물건을 일정한 가격에 제공할 준비가 되는 생산자는 시장 참여자로서 공급자가 될 것입니다. 공급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는 supply입니다.

 3) 수요 공급 곡선

 어떤 물건이나 서비스가 필요한 사람은 싼 가격이라면 많은 사람이 사려고 할 것이고, 비싼 가격이라면 기꺼이 돈을 지불할 사람들이 줄어들게 될 것입니다. 가격과 수요 되는 양을 그래프로 그려보면 '이차함수' 형태가 됩니다. 수요에 해당하는 가격과 수요량의 관계가 '직선'이 아니라 곡선의 형태를 유지합니다. 반면에 공급 역시 이익도 생기지 않는 가격이라면 거의 생산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고, 비싼 가격으로 팔아 커다란 이익을 볼 수 있다면 폭발적으로 공급하려는 사람이 생겨날 것입니다. 수요가 이차함수의 형태를 가지고 있듯이, 공급 곡선 역시 이차함수의 형태를 가지게 됩니다.

 경제학에서 수요 곡선, 공급 곡선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이유입니다. 수요 곡선은 영어 단어로는 demand curve가 되고, 공급 곡선은 supply curve라고 표현하는 이유입니다.

 Demand의 발음

 오늘의 영어 단어는 demand입니다. Demand의 발음은 본 블로그의 다른 글에서 설명한 'and'의 발음 체계를 지니고 있습니다. And 발음이 band, sand, land, brand와 같은 and발음 계열이라면 demand 역시 and발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Demand가 'and'발음과 달라지는 것은 2음절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Demand는 모음인 e와 a의 두 개의 음절을 지니고 있습니다. 두 번의 호흡이 이루어지는 소리 구조입니다. De부분이 하나의 소리로 호흡하고, mand부분이 또 다른 호흡의 단위가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Demand는 "고제윤 글자(새 한글)"로 표기할 경우 아래에서 보듯이 두 개의 글자로 표현됩니다.

demand의 영어 발음 고제윤 글자 표기

 위의 글자에서 볼 수 있듯이 de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and발음과 같은 표기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받침으로 니은과 디귿을 함께 표기하여 하나의 음절로 나타냈습니다. Demand의 발음 역시 and발음과 같은 방법으로 발음하면 됩니다. 새롭게 추가되는 것은 '디'발음 부분입니다. 두 개의 글자, 두 번의 호흡의 길이로 표현하는 원리가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 표기 원리입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