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야구 k기호에 담긴 의미론, meaning, synonyms

기호 언어학

by 새한글(고제윤) 2023. 7. 23. 13:27

본문

반응형

 

목차 : 본 블로그에 게시하는 글
1. 줄임말과 줄임 글자
2. 수학 기호에 담긴 의미론
3. 숫자 기호와 문자 기호
4. 일상생활의 줄임말 들

  1. Strike out과 K

 보통의 문자 기호는 대부분 첫 글자를 따오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P.S. 는 Post Script, SNS는 'Social Network Service'처럼 첫 글자를 기호로 사용합니다. 우리말의 경우에도 '하하'라는 웃음소리를 표현할 때 'ㅎㅎ'처럼 음소의 첫 글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의미가 합쳐진 단어들의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첫 글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예를 들어 Television은 'Tele(멀리)'와 vision(시야, 시청)'이 결합된 단어입니다. 두 개의 의미가 합쳐져서 새로운 문물인 Television이라는 단어가 등장하였습니다. Television의 경우에는 줄임 말로 'TV'로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끔은 이러한 일반적인 원칙에서 벗어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스포츠 경기 중에서 야구의 경우에서도 일반 원칙을 벗어난 경우가 있습니다. 흔히 생각하기에 야구의 규칙에서 '스트라이크'가 3번 연속으로 들어오면 타자는 'k'로 표현됩니다. Strike와 연관 지어 생각해 보면 'S'로 표현하는 것이 당연하겠지만, 뜬금없어 보이는 'K'로 표시합니다.

 야구에서 'k'를 '스트라이크가 3번 들어온 상태'를 의미하며 우리말에서는 '삼진'이라고 표현합니다. K가 사용된 데에는 야구의 발전에 많은 공을 세운 사람과 관련 있습니다. 미국에서 야구인이 아니면서 야구의 명예의 전당에 오른 Henry Chadwick에 의해서입니다. 그는 야구에 대한 소식을 전하면서 strike의 과거형이며, 과거분사인 struck의 마지막 글자인 'k'로 줄여서 표현했습니다. 그의 글재주와 인기가 널리 퍼지면서 야구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도 높일 수 있었습니다. Henry Chadwick의 'k'를 야구에서 '스트라이크아웃'을 의미하는 줄임말로 널리 사용되게 되었던 것입니다.

야구 용어 k : struck

 야구의 기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논란이 존재합니다. 야구 경기는 도구적 측면에서는 방망이, 공, 베이스를 기본으로 합니다. 경기 규칙에서는 팀이 번갈아가며 수비와 공격을 진행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으로 인해 '크리켓'과도 닮아있고, 'Oina'라는 중세의 경기와도 비슷하다고 합니다. 또한 'Cat&dog', 'stoolball' 혹은 'townball'등 다양한 기원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요소가 섞이면서 오늘날의 야구 경기가 등장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야구 경기에서는 기본 형태가 다이아몬드 모양의 base를 기본으로 합니다. Base와 ball이 합쳐져서 'baseball'이라는 명칭이 유래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야구의 유래가 불분명하기는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struck은 그 기원이 명확합니다. 투수의 능력을 보여주는 가장 강력한 지표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2. No와 Number

 야구 경기에서 'k'가 사용되듯이, 첫글자와 끝 글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Number(숫자, 번호)에 해당하는 줄임말인 'No'가 그것입니다. No는 라틴어 계열의 단어인 Numero라는 말에서 유래한 줄임말입니다. Numero를 보면 N이; 첫 번째의 글자이고 o가 마지막 글자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Numero가 의미하는 '숫자, 번호'의 의미를 나타내는 줄임말로 'No'가 사용된 것입니다.

 어떤 특정한 문자를 기준으로 삼아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의미가 시작되는 첫 글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경향이 일반적이지만 No에서 볼 수 있듯이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를 따서 기호로 사용하는 경우도 볼 수 있습니다.

 문자기호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원칙은 첫 글자를 중심으로 의미를 가진 단위의 맥락을 파악하는데 편리하도록 하는 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사용하는 어떤 문자 기호는 반드시 첫 글자만을 기준으로 삼고 있지 않는 경우도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