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1. Kechup의 어원 2. 케첩의 발음 |
1) 토마토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음식의 맛과 풍미를 더하는 대표적인 음식이 '케첩'입니다. 일반적으로 kechup은 중국 남부에서 베트남 지역의 어부들이 생선을 발표해서 먹는 음식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을 통설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생선을 발표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생선 발효 식품인 '젓갈'의 형태로 추측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 통설은 일정 부분 사실일 것이지만, 한 가지 고려할 점은 과거 서양인들의 기준으로 동양을 보는 지리적 관점 역시 고려할 부분이 있어 보입니다. 지금과 같이 세계가 하나의 흐름을 유지하기 어려웠던 시기에 동양은 '중국'을 지칭하는 경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케첩'에 관해서도 만약 중국이나 베트남 지역에 한정하여 이해를 한다면 '케첩'과 유사한 발음이 현재에도 존재함이 타당할 것입니다. 음식 문화의 전통이 그렇게 한 순간에 존재했다 사라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러합니다. 음식에 담긴 뿌리 깊은 각인은 '냄새'만으로도 그 음식을 유추할 수 있고, 고향을 생각게 할 수도 있고, 그 음식을 먹었던 분위기와, 친구들 그리고 그 시절의 공기까지도 기억 속에서 끄집어낸다는 점에서도 그럴 것입니다. '장아찌', '김치', '홍어' 등의 음식 향을 생각해 보면 음식이 주는 강렬한 기억과 맛은 자동 반사되는 성향을 지니고 있습니다.
'케첩'과 유사한 발음과 지리적 환경을 배경으로 중국 남부에서 쭈욱 훑어가다 보면 우리는 가장 비슷한 발음을 가진 '말레이-인도네시아어'를 만나게 됩니다. 현재에도 말레이-인도네시아어에는 생선을 발효한 음식이 있으며, 그 이름은 'kecap ikan'입니다. 인도네시아어의 발음을 기본으로 이 단어를 발음해 보면 '꺼찹, 끄찹'에 해당하는 kecap을 만나게 됩니다. 뒤에 붙은 ikan이라는 말은 '생선, 물고기' 등을 의미합니다. 언어의 기원으로 지리적 배경과 현재 언어의 발음 상황을 볼 때 '말레이-인도네시아' 지역을 꼽을 수 있는 이유가 됩니다.
한 가지 고려할 점은 '말레이-인도네시아어'는 'Bahasa Indonesia'를 공용어로 지정하고, 1900년대 초부터 글자 표기를 알파벳을 사용했다는 사실입니다. 이 과정에서 발음 표기가 약간은 달라졌을 수도 있고, Bahasa Indonesia가 표방하는 '공용어'로서의 말레이-인도네시아어에 관한 내용입니다. 광활한 섬나라들을 포괄하고, 아시아에 연결되는 말레이시아 지역까지를 함께 아우르는 공용어로 사용되는 Bahasa Indonesia의 특성상 현재의 kechup과 발음까지 일치하는지를 추정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음식의 제조 방식이나, 이름에 사용된 발음의 유사성을 볼 때 '말레이-인도네시아어'가 kechup의 기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해 보입니다. 발효된 생선이라는 음식은 여러 지역에 존재하겠지만, 발음까지 유사하다는 점에서 기원을 '말레이-인도네시아' 지역으로 특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말레이-인도네시아 지역의 음식이 서양인들의 입맛을 만족시키기는 어려웠을 것입니다. 채소를 발효시키는 음식을 rotten vegetable(부패된 채소)로 인식하는 경우도 있었다는 점에서 '발효 생선'을 바탕으로 '소스'로 만든 음식이 쉽게 서양인들의 입맛에는 선호되는 방식은 아니었을 것입니다.
상업적 성공은 1876년 Henry J Heinz에 의해서 이루어집니다. 미국인들의 입맛에 맞는 재료와 보존 기간을 늘린 제품으로 재탄생하게 됩니다. 이렇게 서양인들의 입맛을 사로잡은 kechup이 1970년대에는 우리나라에도 들어와 사용되게 됩니다.
위의 글자 표기는 1995년 이래로 "고제윤 글자(새 한글)"에서 표기한 방법으로 영어 발음과 인도네시아 발음을 표기한 것입니다. 위의 글자 표기의 원리는 1995년에는 영어 발음 표기 원리를 제공하였고, 2006년에는 인도네시아어 발음 표기 원리를 제시한 "새 한글"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2006년 출간한 "새 한글"에는 "인도네시아어 훈민정음 방식의 표기법"이 수록되어 있으며, 그 발음 표기 원리로 위의 발음을 나타낸 것입니다.
Kechup에 관한 말레이-인도네시아어와 영어 단어를 발음으로 놓고 보면 상당한 유사성을 보입니다. 특히 자음에서는 두 언어의 유사성이 현저하게 높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현재의 말레이-인도네시아어에서 k는 우리말 쌍기역에 해당하고, c는 우리말 치읓에 가까운 소리입니다.
영어로 김 씨, Kim, Gim, Khim, Keem (0) | 2023.09.15 |
---|---|
후레이크, 플레이크 flake, cereal의 의미와 발음 : 고제윤 글자 (0) | 2023.09.14 |
괄호 기호( ) 영어로, parentheses, bracket : 고제윤 글자 (0) | 2023.09.14 |
A. D. 뜻, A. C. E.뜻, 연도 기준 영어로, 서기 2023년 (0) | 2023.09.13 |
알고리즘 영어로, algorithm : 고제윤 글자 표기 (0) | 2023.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