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Meme, Meem, 밈 기호와 언어

기호 언어학

by 새한글(고제윤) 2023. 7. 26. 22:40

본문

반응형
목차 :
1. Meme의 어원
2. 다양한 Meme의 사례
3. 이모티콘

1. Meme(Meem)의 어원

 Meme이라는 말의 등장은 Richard Dawkins가 쓴 "이기적인 유전자"라는 책에서 등장한 용어입니다. 1976년 발행된 이 책에서 모방과 진화의 과정을 거치는 이기적인 유전자의 특성을 설명하면서 사용했습니다. '유전자'의 특성에 대한 설명에서 등장한 용어이기에 지금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meme과는 좀 더 다른 의미였음을 볼 수 있습니다.

 Meme은 발음상의 특성으로 'Meem'으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기적인 유전자"에서 사용한 '모방'이라는 특성이 오늘날 인터넷이나 소셜미디어 혹은 블로그, 이메일 등의 통신에서 용어와 기호를 사용하여 희화화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로 두루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기적인 유전자"에서 등장한 용어라는 점에서 'meme'은 그 카테고리를 다양하게 확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기호와와 희화화라는 두 개의 측면을 가지고 있다면 'meme'으로 분류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어떤 분야에서건 그것이 약간의 변형을 가한 형태의 기호화를 다양한 meme의 형태로 분류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폭넓은 정의에서 본다면 최근의 가상화폐에서 사용되는 변형이나, 기호화를 활용한 이모티콘 역시 폭넓은 의미의 'meme'의 한 형태라고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2. 다양한 밈의 사례

 '밈'의 대표적인 사례로 떠오른 것은 아마도 최근의 가상화폐에 관한 내용일 것입니다. '도지코인'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개'의 dog발음을 상징으로 사용하고 있는 가상화폐입니다.

Meme - meem 밈

 주식의 경우에도 'meme 주식'이라는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경우가 '게임스탑'의 사례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SNS상에서 유행하면서 개인투자가를 중심으로 인기를 끈 주식에 붙이는 이름입니다. 기관투자가와는 다르게 개인들의 인기를 등에 업고 가치가 상승하는 경우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Meme이라는 표현이 최초의 등장 이후 이 용어를 다른 분야에 확장하여 사용되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3. 이모티몬

 밈과 유사한 형태는 SNS나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emoticion 역시 '밈'의 폭넓은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모티콘이라는 말은 'emotion(감정)+icon(모양, 아이콘)을 합친 단어입니다. 두 가지의 의미를 합친 복합어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감정을 기호화 함으로써 사람의 감정을 언어 표현을 대체하여 기호로써 나타내는 방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모티콘이라는 표현은 "브리태니커 사전"에 의하면 컴퓨터 과학자 Scott E. Fahlman이 1982년에 사용한 것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이모티콘의 형태보다 더 많이 사용되었던 것이 '이모지(emoji)'도 기호화된 의미 전달의 수단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모지는 그림을 의미하는 일본어 'eh'발음과 문자에 해당하는 moji의 의미가 합쳐진 단어입니다. 이모지는 Shigetaka Kurita가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마도 영어 단어인 image와 유사한 발음을 찾아서 합쳤을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이모지는 '종아요'나 '구독', '이웃신청' 등의 하트 모양이나, 다양한 얼굴 표정을 표현한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하는 이모티콘은 이모지에 가까운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