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귀여운 외교관이라는 별칭이 붙은 panda는 중국의 외교 전략 중의 하나로 선택되어 있습니다. 이 표현에 해당하는 They're the country's cutest diplomats라는 문장을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로 표현합니다.
Cute의 발음을 '큩'처럼 각각의 음소를 더하거나 빼는 것 없이 표기할 수 있는 원리를 훈민정음은 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발음 표기 대신에 우리는 '큐트'라는 발음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훈민정음의 글자 표기 원리는 알파벳과 다르게 위에서 아래로 글자 기호를 표현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위의 글자에서 보듯이 위에서 아래로 음소를 배열하는 방법이고, cute의 글자는 '큩'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음소를 그대로 하나씩 나열하는 방식을 일본인들의 언어 원리를 적용하여 받침 표기 대신에 '으'를 붙이는 방식으로 변환한 것입니다.
Cute의 최상급 표현으로 사용되는 cutest의 발음을 볼 때 우리는 받침으로 표기된 티읕이 다음 소리를 만나서 연결되어 발음하는 원리를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음의 원리를 훈민정음은 담고 있습니다. Cute를 '큐트'라고 발음한다면 cutest는 '큐트이스트'처럼 발음될 것입니다. 이러한 발음 원리는 분명 일본어 방식입니다. 훈민정음 표기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어 방식의 발음 원리로 변경되면서 생긴 현상입니다. 최근 미국 대통령 Joe Biden이 문법상 바른 용어는 아니지만 goodest라는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만약 '굿'으로 표기했다면 연결되는 발음은 '구시스트'처럼 원래의 소리와는 다른 소리로 변경될 것입니다. 물론 한국인들은 그렇게 발음하지는 않을 것이지만, 글자 표기 원리만 놓고 보면 그러하다는 것입니다.
They are the country's cutest diplomats라는 문장의 각각의 발음을 훈민정음 표기 원리로 표현하여, 실제 발음을 그대로 표기하는 원리를 적용했습니다.
관련 동영상은 아래의 link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th 발음, 영어 th, 일본인들은 th를 지읒으로, 고제윤 글자로 (1) | 2024.12.09 |
---|---|
AI시대의 영어 발음 표기는 고제윤 글자로 (0) | 2024.12.03 |
영어 인삿말 Good bye와 so long : 고제윤 글자로 (1) | 2024.12.03 |
PPM,LTV,DTI한 번에 이해하기 (8) | 2024.10.31 |
글자 전쟁 - 음절 문자와 음소 문자 (0) | 2024.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