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숫자와 기호의 관계, 기호로 본 수학 원리, 훈민정음 글자와 숫자 기호

기호 언어학

by 새한글(고제윤) 2024. 11. 25. 13:08

본문

반응형

우리는 아라비아 숫자를 쉽게 이해하는 반면에 이것을 수학적 기호로 표현했을 때에는 어렵게 여기는 것을 봅니다.

본질에서는 아라비아 숫자로 표현되어있건, 기호(특히 알파벳)으로 표현되어 있건 같은 의미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345라는 숫자 단위를 삼백사십오라고 쉽게 읽지만 이것이 a, b,c와 x 그리고 제곱 등으로 표현될 때에는 어렵게 여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식처럼 표현되는 순간 어렵다고 여기고, 수학 자체가 어렵게 여겨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늘은 우리가 알고 있는 아라비아숫자 읽는법 자체가 이미 고도의 수학적 원리를 담고 있다는 내용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아라비아 숫자에 담긴 수학 원리

언어 표현을 보면 삽십사와 같은 숫자는 30+4를 의미하며, 345는 300+40+5를 의미합니다. 수학의 덧셈과 십진법의 원리를 모두 포함한 고도의 숫자 기호 표기의 원리입니다.

이 의미를 다시 곱셈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345에 담긴 의미와 기호 표현

이제 각각의 의미를 위의 내용처럼 백은 10을 두번 곱했고, 10은 10을 한번 곱했으며, 1은 10을 0번 곱했다는 아라비아 숫자의 자릿수 개념으로 표현하면 3곱하기10의 제곱 더하기 4곱하기 10 더하기 5곱하기 10의 0제곱(모든 수의 0제곱은 1)이라는 자릿수 개념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숫자들 중에서 10을 x로 표현하면 위의 식처럼 3x의 제곱 + 4x+5가 됩니다. 여기에 만약 방정식 equation의 원리를 적용하면 =0과 같은 식으로 표현됩니다.

수학의 기호 체계는 이처럼 원래의 숫자가 갖고 있는 의미를 알파벳과 같은 기호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물론 안타까운 사실은 이러한 수학 기호에 우리가 사용하는 훈민정음의 기호는 단 하나도 없다는 사실입니다. abc기호 대신에 ㄱㄴㄷ으로 표현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안타깝게 아직은 없습니다.

관련 내용은 아래의 유튭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m1B6kHqshE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