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화장실 영어로, W.C.와 bathroom 그리고 Toilet에 담긴 문화사

기호 언어학

by 새한글(고제윤) 2024. 11. 28. 21:18

본문

반응형

 화장실에대한 표현 중에서 '푸세식', '수세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끔 시골에서 접하게 되는 '푸세식'으로 표현되는 재래식 화장실이 있습니다. '수세식'은 '물 수(水)를 사용한 표현이라는 점에서 W.C.의 의미도 담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W.C.에서 W가 바로 water(물, 水)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합니다.

 화장실에 Water라는 단어가 사용된 것을 생각해 보면, 화장실 문화의 중요한 변천을 볼 수 있습니다. 인류의 역사에서 '응가'처리의 방법으로 '물'을 사용하게되면서 water라는 단어가 사용되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똥통, 변기 등을 의미하는 toilet이라는 표현도 있지만, Water Closet에서 사용되는 water는 인류의 뒷처리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W.C.에서 C는 closet을 의미합니다. Closet이라는 단어를 보면 'close(닫다)'와 그 연관성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닫혀있는 공간'이라는 의미에 해당합니다. 우리말에서는 '벽장'과 같은 의미라고 볼 수 있습니다. '벽장'이나 '장롱'처럼 닫혀있는 공간에 해당하는 표현입니다.

 이제 이 둘을 합한 의미를 생각해 보면 Water(물)+ Closet(닫힌공간)이라는 의미가 된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인류는 보편적으로 '응가'나 '배설'은 불결한 곳으로 생각하는 언어 습관이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표현을 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말에서도 '똥, 응가' 등의 직접적 표현 보다는 좀 더 에둘러 표현하는 방법을 찾아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그 결과로 영어에서도 Rest(휴식)+room(방)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공간을 의미하는 단어로 closet이나 room과 같은 용어가 사용된 것을 볼 수 있고, 물, 휴식 등의 의미로, 사용되는 표현도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말에서도 '뒷간' 등의 표현이 있습니다. 앞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뒤쪽이며, 공간이라는 의미에서 특정한 위치에 설치한 시설물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화장실이 실내에 들어오면서 화장실의 공간을 목욕(bath)가 가능한 공간으로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집에서 볼 수 있는 씻을 수 있는 공간의 개념이 등장한 것입니다. 간단한 씻기가 가능한 공간인 경우, 즉 세수 정도가 가능한 공간도 있지만, 샤워 수준의 씻기가 가능하거나, 욕조를 두는 공간으로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그 결과로 생긴 이름이 Bath(목욕)+room(공간, 방)'으로의 표현이 등장한 배경이 된 것입니다.

오늘의 영어 발음은 closet의 s가 z로 발음되는 표기 입니다. 영어의 z발음은 우리말에서는 시옷으로 이해하거나, 지읒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영어의 z는 우리말에서는 현재에는 없는 소리입니다. 아마 가장 비슷한 소리로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반치음(세모 모양의 글자)가 아니었을까 생각합니다.

영어의 z소리는 그 소리의 특성이 유성음(목젖이 울리는 소리)이라는 점에서 현재의 우리말에서는 찾기 어렵습니다. 물론 요즈음에는 영어의 z발음을 많이들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비슷한 소리를 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훈민정음의 반치음(세모 모양)은 훈민정음 글자 창제 원리를 생각해 볼 때 그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훈민정음은 글자의 획수를 더하는 방법입니다. 시옷에 한 획을 더하여 지읒을 만들고, 지읒에 한 획을 더하여 치읓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시옷 글자에 아래쪽으로 한 획을 더하면, 바로 세모 모양의 글자가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영어의 z을 이해할 때 시옷이나, 지읒으로 이해하는 것과 같이, 우리의 언어 구조에서 영어의 z을 비슷한 계열로 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1995년 이래로 "고제윤 글자"에서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글자인 반치음을 사용하여 영어의 z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원리에 맞춰 closet을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W.C. Water Closet 화장실

 

위의 글자에서 볼 수 있듯이 '닫혀있는 공간', '벽장' 등의 의미로 번역되는 closet에서 s는 발음에서는 z발음이 되며, 이 글자를 훈민정음 표기의 원리를 적용하여 나타내면 위의 글자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