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괄호 영어로, ( ), { }기호의 발음,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1. 17. 13:24

본문

반응형

 1. 괄호 기호의 이름 : ( ), { }

 ( )로 표시되는 기호를 우리는 '괄호'라는 한자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묶을 괄활호를 사용하여 나타내고 있습니다. 묶음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기호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 기호도 있고 { }기호도 있으며, "큰따옴표 "이나 '작은따옴표 '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 ), [ ], { }의 영어 단어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 기호에 대해서는 미국식 영어와 영국식 영어 사이에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식 영어에서는 parentheses를 사용합니다. 이 단어의 단수형은 parenthesis입니다. Parenthesis라는 말은 그리스어에서 라틴어를 거쳐 들어온 표현으로 그 뜻은 '삽입(넣다)'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보입니다. 수학적 기호로 많이 사용되지만 그 이전에는 글을 쓰면서 덧붙여 쓰는 경우에 주로 사용했기 때문에 이 단어를 글쓰기뿐만 아니라, 수학에서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 영국식 영어에서는 bracket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꺾쇠나 묶음 도구를 생각해 보면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브라캣' 뿌라캣, 브래킷, 브래킽' 등으로 표현하는 꺾쇠 모양의 도구가 있습니다.

 꺾쇠 모양이 둥근 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 )round bracket이라고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영국 영어에서는 [ ]square bracket이라고 표현하는 것을 볼 때 그 모양을 바탕으로 기호의 이름을 붙인 것입니다. 미국식 영어에서는 [ ]brackets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 ] 기호는 가장 빈번하게는 발음 기호를 표기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신라[실라]처럼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집합 기호에서 사용하는 { }기호도 있으며, 그 이름은 curly brackets, braces, curly braces 등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2. Bracket 발음

오늘의 영어 단어 발음은 bracket입니다.

 이 단어를 살펴보면 br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로 옮기면 비읍과 리을입니다. 엄밀하게 말하면 비읍과 영어 발음 r'',''에 가까운 소리입니다. 자음 두 개가 겹쳐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Brother, brake, brand,처럼 br이라는 두 개의 자음이 겹친 발음입니다. 따라서 훈민정음 방식이라면 이 두 개의 소리를 하나의 자리에 표현하는 것이 맞습니다.

 

 

위의 글자 표기는 100여 년 전까지도 사용되던 ''의 옛 글자 표기입니다. 오늘날의 쌍기역 자리에 시옷과 기역의 두 개의 자음이 겹쳐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자음을 두 개 겹쳐서 표기할 수 있는 방식이 훈민정음의 원리입니다. 현재는 받침에만 남아있습니다. ', , , , ......'등의 표기가 그것입니다.

 그러나 자음을 겹치는 표기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사라지고 일본어 방식의 표기로 변하면서 자음이 겹치는 표기는 점점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오늘날에는 첫 소리 자리에 자음을 두 개 표기하는 경우는 쌍기역, 쌍비읍, 쌍시옷, 쌍디귿 같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부 사라졌습니다.

 그 결과로 bracket 같은 경우에는 자음을 겹쳐서 표기하는 대신에 자음 사이에 ''를 넣거나 일본어처럼 ''를 넣어서 발음하는 방식이 된 것입니다. Bracket'브라켓, 뿌라켓, 브래킽' 등으로 발음하는 원리입니다.

 위의 글자 표기에서는 자음 br에 해당하는 소리를 각각 표현하고 첫 글자에 두 개의 소리를 표현한 것입니다. 소리 하나에 글자 하나의 표기 원리를 적용한 것입니다.

괄호 bracket 고제윤 글자로

 

위의 글자 표기처럼 br에 해당하는 소리를 각각의 소리에 맞춰 '비읍'''를 겹쳐서 표기한 것입니다. 이렇게 자음을 겹쳐서 표기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자음이 겹치는 경우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며, 필요 없는 모음을 추가하는 습관을 제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표기 원리는 알파벳이 단순히 가로쓰기인 반면에 훈민정음은 모음을 중심으로 하나의 호흡에 하나의 글자를 표기하는 원리라는 점을 근거로 한 것입니다. 가로 쓰기 알파벳이 하나의 소리 호흡 단위로 구성되는 우리글과 소리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훈민정음의 표기 원리를 담아 세계의 모든 소리를 표기하는 "고제윤 글자"관련 동영상은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NZoKZXFHW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