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도레미파솔라시도 음계의 기호화 : Definition & Meaning

기호 언어학

by 새한글(고제윤) 2023. 7. 31. 11:11

본문

반응형
목차
1. 음계와 기호화
2. 도레미파솔라시도
3. 오선지 위의 기호

1. 음계와 기호화

 소리를 기호화하여 나타내는 과정은 수학적 원리와 연결될 수 있습니다. 소크라테스 역시 소리를 분류함에 있어서 12음으로 분류하고, 여기에 수학적 계산을 증명하는 과정을 시도했었습니다. 소리가 구별되는 단계를 2:3으로 하거나 혹은 2/3으로 음 사이의 경계를 만드는 과정에는 반드시 수학적 계산이 필요했을 것입니다. 오늘날 언어학에서도 소리의 파형을 바탕으로 각각의 소리에 대한 특성을 찾아내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소리에도 일종의 손가락의 지문과 같은 소리의 지문이 있음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소리를 악기로 변환시키는 과정 역시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공무도하가"라는 시가에서 맨 뒤의 '가'가 노래를 의미합니다. '공후인'이라는 악기로 연주하였던 것으로 보면 소리와 악기 사이의 연관성이 아주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2. 도레미파솔라시도

 우리나라의 전통 음계는 5음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다섯 음은 '궁, 상, 각, 치, 우'입니다. 여기에 비해서 서양의 음계는 7 음계를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7 음계는 '도, 레, 미, 파, 솔, 라, 티(시), 도'에 해당합니다. 이 음계 이름은 이탈리아 음악이론가이며 수도승이었던 Guido of Arezzo 혹은 Guido d'Arezzo라고 불렸던 사람에 의해서 정리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에 의해서 기존의 찬송가에서 사용되던 방식을 정리하여 각각의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그가 음계의 이름을 정하면서 원래는 'Ut'였던 음계는 그의 이름에서 볼 수 있는 Guido의 '도(Do)'라는 명칭도 등장합니다. 또 초기의 음계 이름이었던 'slo, fa'는 영어 단어 '솔페지오 음계 Solfeggio Scale'에서 그 흔적을 볼 수 있습니다.

 도, 레, 미, 파, 솔, 라, 티(시), 도가 대중적인 음계로 널리 퍼진 계기는 아마도 영화 "Sound of Music"덕분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영화에서 사용된 도, 레, 미, 파, 솔, 라, 티(시), 도에 맞춰 각 음에 적절한 가사를 덧붙인 내용은 오늘날에도 사랑받는 노래이기도 합니다.

 영화 " Sound of Music"에 삽입된 노래 도레미송은 다음과 같습니다.  Doe(Do), a deer, a female deer, Ray(Re), a drop of golden sun, Me(Mi) a name I call  myself. Far(Fa), a log long way to run. Sew(So), a needle pulling thread. La(La), a note to follow Sew. Tea(Ti), a drink with jam and bread. That will bring us back to Do-oh-oh-oh 각 음계에 맞춰 문장과 음계를 연관지은 노래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7음계의 이름, 도레미송

3. 오선지

 음계를 표현하는 가장 전통적인 방법은 다섯줄로 되어있는 선을 기준으로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이 다섯 개의 선명한 줄을 바탕으로 각 음을 표시하고 그 소리의 길고 짧음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에서 기호 표현의 뛰어나면서 간략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섯 개의 선을 한자로 표현하면 '다섯 오, 줄 선'입니다. 다섯 줄이 그려진 종이라는 의미에서 '오선지'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다섯개의 줄과 음표 기호를 사용하여 다양한 노래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기호 표현의 놀라운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음악의 오선지와 음계 표시가 있었기에 오늘날에도 무수히 많은 음악의 창조가 기록되고 전승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