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영어 발음을 잘하는 몇 가지 방법,-1회 쌍디귿 소리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1. 31. 17:58

본문

반응형

1. 영어에서 쌍디귿 소리

 발음기호나 사전을 보더라도 표시되지 않는 소리가 있습니다. 사전의 편찬 원칙과 발음 기호 표기 원리가 '대표음'만을 나타내고, 음운 현상까지 나타내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stand에서 t발음이 실제 우리말에서 '쌍디귿'소리가 난다고 하더라고, 이것을 표현하지 않고 있습니다. 의미를 전달하는데 차이를 가져오지 않는다면 그것을 표시하지 않는다는 사전과 발음기호의 표기 기준을 지키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전이나 발음기호로 표시하지 않는 것은 실제로는 그것을 나타낼 방법이 마땅치 않고, 설사 가능하다하더라도 번거롭기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한 stand의 t가 실제 소리에서는 s뒤에 오는 t가 우리말 쌍디귿에 가까운 소리입니다. S뒤의 t소리가 '쌍디귿'소리가 난다면 아마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t를 한 번 더 쓰면 되는것 아닌가? 혹은 d를 한 번 더 쓰면 되지않나 하는 생각을 할 것입니다. 우리의 글자 표기 원리가 그러한 원칙을 담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생각이지만 알파벳에서는 그 소리에대한 원칙을 적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유명한 일화가 "쌍용"이라는 회사의 이름에서 s는 시옷이고, 쌍시옷은 ss로 생각하는 한국인의 알파벳 표기 원리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논리가 우리글과 알파벳의 근본적인 차이 중의 하나이기도 합니다.

stand up 발음 고제윤 글자로

2. 발음 교정 원리 : 고제윤 글자로

 자, 이제부터 발음을 바꿔보겠습니다.

 가장 많이 알고 있는 문장부터 시작합니다.

 Stand up (일어서!)라는 명령의 표현입니다.

알파벳은 모든 소리를 가로 쓰기로 하기 때문에 위의 글자처럼 띄어 쓰기가 되어있지만 실제 소리는 붙여서 이해합니다.

 Standup처럼 뒤의 단어와 연결되어 소리가 납니다.

 s는 시옷, t는 쌍디귿, a는 ㅐ 소리입니다. n은 니은이되고 d는 디귿, 그리고 u는 'ㅓ' 소리가 납니다. p는 피읖입니다.

 * 참고로 d는 디귿으로 표현했지만 우리말 디귿과는 약간 다른 소리입니다. 목젖이 울리는 소리입니다.

 이 각각의 소리(음소)를 훈민정음의 글자 원리에 맞춰, 초성, 중성, 종성을 연결하여 표현합니다. 그러면 위의 표에 있는 글자와 같은 모양이 됩니다. 주의할 점은 일본어처럼 음소를 음절로 바꾸지 마시기 바랍니다. 자음 뒤에 모음을 넣어서, 예를 들어 st를 시옷 뒤에 'ㅡ'를 넣어 '스'로 길게 늘여서는 안됩니다. st를 거의 하나의 소리처럼 짧게 발음합니다. 즉 'ㅅ'은 짧게 발음하면서 '땐'발음을 강하게 합니다. 또한 '드'와 같이 발음하는 것이 아니라, d에 해당하는 소리를 뒤의 up과 연결하여 발음합니다. '덮'이라는 글자를 읽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연결하여 읽는 것을 '연음'이라고 표현합니다. 알파벳은 단순한 가로 쓰기이기 때문에 실제 소리를 낼 때에는 뒤의 소리와 연결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훈민정음의 글자 표기는 가로 쓰기의 글자를 숨 쉬면서 내는 소리에 맞춘 글자이기 때문에 받침 글자로 표현됩니다.

 위의 원리를 참고하여 '스탠드업'의 네 번의 호흡이 아닌 두 번의 호흡의 글자로 표현하면 됩니다. 이 발음을 실제 외국인들의 발음이나, 네이버, 다음, 구글 등(특히 미국식 발음)의 발음 듣기와 비교해서 연습해 보세요.

 이 표기 원리를 기준으로 s뒤에 t가 오는 다양한 소리들을 연습해 보시면, 발음이 한결 부드러워지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쌍디귿 소리 : s뒤의 t소리

style, stay, student, strike, strong, star, .....

 

 

 관련 동영상은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VrWd11Xlk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