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케첩 영어로, ketchup 유래, 케찹,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3. 18. 15:15

본문

반응형

1. 케첩 Ketchup의 유래

 1) 일반적인 이론

 '케첩(ketchup)'이라는 말의 기원은 중국 남부에서 베트남 지역의 어부들의 발효 음식에서 유래했다는 것이 통설입니다. 이 음식을 영국인들이 가져와서 음식의 소스로 사용한 데서 ketchup이 시작되었다고 보는 것입니다.

 이렇게 영국에 건너온 음식은 서양인들의 입맛을 모두 만족시키지는 못했을 것입니다. 입맛에 맞는 음식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토마토케첩'이 1812년부터 등장하게 됩니다. 그리고 드디어 상업적 식품으로 토마토케첩이 1876Henry J. Heinz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미국인들의 입맛에 맞는 재료와 보존 기간을 늘린 제품으로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케첩이 우리나라에도 1970년대부터 보급되기 시작한 것입니다.

 

2) Ketchup은 말레이 인도네시아어?

 특정 단어의 어원을 살필 때에는 시기적 관점을 바탕으로 할 필요가 있습니다. '케첩'을 지리적으로 보면 동남아시아 지역의 어부들의 음식일 수 있다는 폭넓은 시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들 언어권의 비슷한 발음과 음식을 추정하는 것이 언어의 어원에 더 정확한 접근법이라는 생각입니다. 케첩이라는 말과 비슷한 발음, 그리고 비슷한 조리법이 포함된 음식을 대상으로 지역과 언어를 비교 검토해 보아야한다는 생각입니다.

 이렇게 좀 더 지역을 확장하여, 비슷한 발음과 비슷한 조리법을 지닌 특성을 살펴보면, 중국 남부나 베트남 지역 보다는 말레이 인도네시아어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오늘날과 같은 국가 경계가 확정되기 이전의 역사적 환경 역시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kechup'생선 젓갈'이라는 공통분모의 발음을 찾아보면, 동남아시아 지역까지 포함하고, 언어는 말레이-인도네시아어까지 확장해서 살펴보는 것입니다. 또한 말레이-인도네시아어는 1900년대 초에 로마자로 철자를 바꾸어서 현재는 알파벳을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그렇게 찾아낸 단어가 kecap입니다. 말레이 인도네시아어에서 가장 유사한 발음과 음식이 존재합니다.  현재는 kecap ikan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kecap'께찹' 혹은 '커찹'으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ikan'이깐'으로 발음하고 그 뜻은 '물고기, 생선'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이 말은 '물고기로 만든 발표 음식 혹은 소스'의 의미였을 것으로 보입니다.

  * 위의 내용은 제가 주장하는 'ketchup'의 기원입니다.

 

2. Ketchup발음

케첩의 유래와 발음, ketchup, 고제윤 글자로

 

 

1) 영어 발음 ketchup

 영어 단어 ketchup을 발음 기호로 표현하면 [ ˈketʃəp ]입니다. 알파벳과 발음 기호 모두 음소 가로 쓰기의 원리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한글로 가로 쓰기를 하면 [ㅋ ㅔ 추 ㅓ ㅍ]에 해당합니다. 이 소리를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로 표기하면 맨 오른쪽의 글자인 '케췊'에 해당합니다. 소리를 더하거나 빼는 것 없이 소리 모두를 훈민정음의 받침 글자 원리를 적용하여 표현한 것입니다.

 

2) 일본어 발음 ketchup

 Ketchup의 일본어 발음은 '케차(찻,찹)뿌(ケチャップ)' 정도의 발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Ketchup이 일본어에서는 '어' 발음이 없기에 '어' 대신에 '아'를 사용하여 '케차'로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일본인들의 언어 구조에서 자음은 독립적으로 소리를 갖지 못한다고 인식하므로 마지막 'p'발음을 '피읖(ㅍ)'이 아닌 '파(빠), 피(삐), 푸(뿌), 페(뻬), 포(뽀)'중의 하나로 표현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여기에서는 '푸(뿌)'를 선택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 한국어 발음 ketchup

 한국어 발음과 표기에서는 현재의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받침으로 피읖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비읍으로 바꾸어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일본어 발음처럼 모음 '어' 대신에 '아'를 사용하여 '케찹'으로 하거나, '어' 발음을 살려서 '케첩'과 같은 발음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아래의 동영상에서는 훈민정음을 활용하여 세계의 모든 소리를 표기하는 "고제윤 글자"의 원리에 대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NZoKZXFHW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