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Flix라는 말은 Internet이라는 단어와, 필름이 돌아가면서 나는 소리를 나타내는 flix(flicks)가 합쳐진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화를 의미하는 movie라는 단어도 있지만, 필름이 돌아가는 소리를 나타내는 flix라는 말 역시 '의성어'로 영화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NetFlix라는 말은 Internet Movie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NetFlix에서 사용하는 flix는 원래의 영어 단어 flicks를 발음이 같은 cks를 x로 치환하여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영어 단어에서 보이는 발음과 글자가 다른 상황을 교묘하게 이용한 재치있는 표현으로 생각합니다.
영화를 뜻하는 또 다른 영어단어는 moive가 있습니다. 움직이는 사진을 의미하는 'moving pictures'에서 출발한 단어는 초기에는 '활동사진'으로 번역되기도 했지만, 영화라는 이름으로 더 친숙해졌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Netflix의 영향으로 flick라는 말도 자주 사용됩니다. 영화와 관련지어서 a movie theater처럼 미국에서는 영화관을 나타내는 단어와, 영국에서 극장을 나타내는 cinema 등의 연관 단어들도 자주 등장합니다. 그만큼 영화는 다양한 장르의 다양한 기술이 결합된 결과물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영화를 '제7의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예술작품으로 보기도 합니다. 과학기술과 시나리오가 지닌 서사구조, 그리고 컴퓨터 기술의 결합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영화는 창조되고 소비되고 있습니다.
1) 영어 발음 : NetFlix
NetFlix를 발음 기호를 사용하여 나타내면 [netfliks]가 됩니다. x의 발음이 'ㅋㅅ'를 담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지금은 특이한 상황이지만 'x'는 두 개의 자음 'ㅋㅅ'를 담고 있는 경우입니다. 과거에는 그리스 로마시대의 글자에서는 두 개의 자음을 담은 소리를 흔하게 볼 수 있었습니다. 현재 영어에서는 두 개의 자음은 x와 l(두 개의 리을)'에만 남아있습니다.
2) 일본어 발음 : NetFlix
일본어에서는 '네또푸(후)릭크(쿠)쓰(쑤)[ネットフリックス]'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Net의 발음에서 t를 티읕이 아닌 '타, 티, 투, 테, 토'의 다섯 개의 자음과 결합한 소리로 이해하기 때문에 '네또'발음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Flix의 발음에서는 일본어에서는 f발음이 없기 때문에 후(푸)에 가까운 소리로 표현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x는 '쿠(크), 스(수)'의 두 개의 소리로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엄밀하게 보면 netflix는 두 개의 모음을 가진 글자, 즉 두 번의 호흡으로 이루어지는 글자 표기를 해야하겠지만, 일본어의 특성으로 6개(촉음 포함하면 8개)의 소리 호흡을 갖는 소리가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실제의 소리 보다는 3배 이상으로 길어진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발음의 어려움으로 일본어에서는 줄인 소리인 'ネトフリ'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3) 한국어 발음 : NetFlix
한국어에서는 4개의 글자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Net에서 t소리는 '티읕'이라고 할 수 있지만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티읕을 인정하지 않고 기역, 니은, 리을, 미음, 비읍, 이응 만을 사용하기에 티읕을 시옷으로 변화시켜 표현하고 있습니다. 또한 f소리는 우리말에 없는 소리이기에 '피읖'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4) 고제윤 글자로 : NetFlix
1995년 이래로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에서는 우리말에 없는 소리인 f에는 피읖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표기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영어의 f소리는 "윗니로 아랫입술을 물고 계속해서 마찰을 일으키는 소리"라는 특성을 담아내기 위한 것입니다. 'Flix'에서 'l'은 두 개의 자음 'ㄹㄹ'에 해당하므로 fl은 실제 소리에서는 자음이 세 개 겹치는 경우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영어에는 없는 'ㅡ' 글자를 넣어서 표기하였습니다. 직관적으로 읽어내기 위해 훈민정음의 기본 모음 'ㅡ'를 사용한 것입니다. Net에서는 실제 소리를 반영하여 '넽'처럼 티읕 받침을 그대로 사용하였습니다.
Flix의 발음은 "윗니로 아랫입술을 물고 '플'이라는 소리를 낸 후에 '릯'의 두 개의 받침을 '릭'으로 읽은 후 흘리듯이 'ㅅ'소리를 발음하는 방법입니다. 두 개의 자음을 현재의 한글로 입력하기 위해서 키읔 대신에 기역을 사용하였습니다. 받침에서는 같은 소리로 나타납니다.
처음에는 어려운 발음일 수 있지만 한국인 특유의 언어 능력을 발휘한다면 쉽게 읽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 훈민정음을 활용하여 세계의 모든 언어를 발음하고 표기하는 "고제윤 글자"의 발음 연습 원리는 아래의 동영상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TCvw0McTnQ
점심 영어로, lunch 영어 - 일본어 발음, 런취, 란치, 고제윤 글자로 (2) | 2025.03.19 |
---|---|
마늘 영어로, 갈릭 빵 발음, Garlic , 빵의 어원 pão-pan 고제윤 글자로 (1) | 2025.03.19 |
케첩 영어로, ketchup 유래, 케찹, 고제윤 글자로 (2) | 2025.03.18 |
춘분 영어로, 추분, equal(=)그리고 에콰도르, イコール, 고제윤 글자로 (0) | 2025.03.18 |
'토를 달다'의 의미와 유래, 한국어와 일본어의 특성 비교, 고제윤 글자로 (2)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