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이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삼국시대 신라의 '서라벌'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서울'이라는 이름에는 순수한 한국인들의 언어이며 한국인의 발음을 담고 있는 표현이기도 합니다. "처용가"라는 향가에서는 서울을 한자어로 '東京'으로 표현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만약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하지 않았고, 여러분이 한자나 알파벳으로 '서울'을 표현한다는 상상을 해보시면 이런 글자로 표기한 원리를 조금이나마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양한 주장이 있을 수 있지만 지금의 '서울'이라는 말은 '새벌(새로운 벌판), 서라벌' 등의 표현이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당시의 소리가 기록되어 있지 않기에 한국인 모두가 나름의 주장을 할 수 있을 만큼 다양한 주장이 있습니다. 한자어만 놓고 보면 오늘날 일본의 수도인 '동경(東京=도쿄)'의 한자어 역시 '서울'과 닮아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한국어 '서울'을 한자어로 표기하거나, 영어 발음으로 표기하는 경우, 그리고 일본의 언어로 표기하는 과정에서는 어려움을 겪습니다. 심지어 중국에서는 한성(漢城), 한양(漢陽) 등의 한자어로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서울대학교는 때로는 한양대학교이기도 하고 한성대학교이기도 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과거에 '서울'을 한자어로 표기하기 위해서 서울시에서 표기 공모까지 했었던 이유입니다.
알파벳으로 표현한 Seoul 역시 완벽한 '서울' 발음을 표현한 것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세울'로 읽는 경우도 있고, '세우르'로 읽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본인들의 경우에는 '소우르(ソウル)'처럼 표현 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혼란의 원인 중의 하나는 알파벳과 일본어의 문제점과 관련있습니다. 우리말에 담긴 '어' 발음과 받침 표기를 표현하기에 마땅치 않은 글자 구조라는 점입니다. 우리말이 문제가 아니라, 우리말의 다양한 표현을 글자로 나타내기에는 알파벳과 일본어, 한자어 등이 불완전하기에 생긴 현상입니다.
영어의 경우는 분명 '어' 발음이 존재합니다. Bus, about, an, .... 등 무수한 단어에 '어' 발음이 들어있습니다. 문제는 알파벳에는 '어'가 없다는 점입니다. '어'를 a, e, i, o, u의 어느것으로 해야할지 막막할 것입니다. A라는 같은 글자를 두고도 한 단어 안에서도 다른 발음이 되기도 합니다. 아랫글에서 설명한 banana만 놓고 보더라도 a가 다른 발음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소리로는 존재하지만 글자로는 존재하지 않는 상황입니다. 발음 기호를 17~19세기에 언어학자들이 개발한 원리이기도 합니다.
알파벳의 한계로 인해서 1900년대에 문자 개혁을 이룬 인도네시아어를 보더라도 이런 문제점이 드러납니다. 인도네시아어에서는 '어'를 e를 사용하여 나타냅니다. 인도네시아어에서 알파벳 'e'는 '에, 어, 으'의 세 가지 발음을 기본으로 갖고 있습니다. 같은 글자를 놓고 상황에따라 다른 소리를 내는 것입니다.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창제하면서 모음을 다양한 형태로 나타냈습니다. 아래아(.)와 'ㅡ' 'ㅣ'를 기준으로 삼고 왼쪽 오른쪽 위 아래에 점을 찍어서 각각의 소리 글자를 완성한 것입니다. '어' 발음 역시 그 과정에서 탄생하였습니다.
대부분 경험하시겠지만 우리말을 알파벳으로 표현하기에는 알파벳이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분명 느낄 것입니다. 우리의 언어가 잘못이 아니라 알파벳이 가진 한계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본 블로그나 네이버 블로그 그리고 유튜브 "글퍼블릭"에서 제시하듯이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 표기로는 모든 외국어의 소리를 글자로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드리고 있습니다. 세종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에 담긴 소리 글자의 원리를 활용하였기에 가능한 것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외국어 학습을 하면서 경험하는 사실인 우리말에 없는 소리들을 표기할 기호 역시 훈민정음에도 없습니다. 영어의 f, th, v, z등이 그러합니다. 이러한 경우에 "고제윤 글자"에서는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를 적용하여 f의 경우에는 피읖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글자, v의 경우에는 비읍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글자 등으로 나타내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관련 내용은 아래의 동영상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5VC8H2xauC8
텀블러의 유래와 발음, Tumbler, 보온병, 마호병, tumble 고제윤 글자로 (2) | 2025.03.23 |
---|---|
목요일 영어로, Thursday 영어 발음, 토르의 날, 고제윤 글자로 (1) | 2025.03.23 |
바나나 영어로, banana=finger(손가락), 바나나 고제윤 글자로 (0) | 2025.03.22 |
dessert 디저트 유래와 발음, 고제윤 글자로 (2) | 2025.03.21 |
양배추 영어 일본어 발음, cabbage, 캐비지, 고제윤 글자로 (0)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