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 용기 대신에 음료수나 물을 담는 그릇을 보통 텀블러( tumbler)라고 부릅니다.
Tumbler라는 단어는 독일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음료 잔(drinking glass)'의 의미로 기록된 것은 17세기 후반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독일어에서 Tumbler는 'acrobatic'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 의미로 추정하는 이유는 우리가 오늘날에도 가끔씩 사용하는 체조나 무용에서의 '덤블링'이라는 말이 Tumbling을 잘못 발음하여 생긴 것이라는 점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Tumbling의 t를 d로 발음하면서 '덤블링'이라는 용어가 생겼지만, '덤블링'이라는 말을 아는 분들은 쉽게 '구르고, 춤추는 모습'을 연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초기의 '텀블러'는 아래쪽이 뾰족한 형태였기 때문에 쉽게 빙그르르 돌기도 했을 것입니다. 이렇게 빙그르르 도는 형태는 춤이라는 단어나 '곡예(acrobatic)'와 연관 지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우리는 '곡예'라는 말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전통적으로는 '제비'라는 표현이 있었습니다. '공중제비', '땅 제비', 등으로 표현되는 마당놀이의 넘고, 도는 형태의 기예가 있었습니다.
Tumbler는 전기 스위치에서도 등장하는 용어입니다. Tumbler switch의 형태가 그것입니다. 지금은 거의 보기 어렵지만 과거의 전등을 켤 때 '위 아래로 젖히는 형태'가 그것입니다.
Tumbler와 유사한 형태에 사용한 단어 역시 과거에는 흔하게 사용하였습니다. '보온병'이 그것입니다. '보온병'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지만 '마법의 병'이라는 의미의 일본어 발음 '마호병(빙)'이라는 표현도 있었습니다.
1) 영어 발음 tumbler
영어 단어 tumbler를 발음 기호로 나타내면 [ ˈtʌmblə(r) ]입니다. 한글을 사용하여 알파벳이나 발음 기호로 표현하면 [ㅌ ㅓ ㅁ ㅂ ㄹㄹ ㅓ]입니다. 알파벳은 음소(소리의 가장 기본 단위)를 가로 쓰기의 형태로 나타내기 때문에 자음이 겹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Tumbler에서 'mbl'처럼 자음이 겹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mbl을 한글 음소로 배열하면 [ㅁㅂㄹㄹ]입니다. L은 두 개의 리을로 표현했습니다. [ㅁㅂㄹㄹ]을 한글에서는 발음하기 어렵지만 훈민정음 표기에서는 이렇게 자음이 겹치는 상황을 해결하는 방법을 갖고 있습니다. 영어에는 없는 'ㅡ'발음을 사용하는 방법도 그 중의 하나입니다. 자음을 겹쳐서 표기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삶, 흙, 옳, 앑,....'등의 글자를 표기할 수 있습니다. 현재의 한글에서는 '텀블러'처럼 표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표기에서도 이 원칙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자음이 세 개 이상 겹치는 상황을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2) 일본어 발음 tumbler
Tumbler의 일본어 발음은 '탄부라(タンブラー)'입니다. '타 ㄴ(タン)'은 '탄'으로 발음합니다. 물론 일본어에서는 니은, 미음 이응에 같은 글자 'ン'을 사용하기 때문에 '탐부라'로 발음하는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Tumbler가 '탄부라'가 되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Tumbler에서 'u와 e'는 한국어에서는 'ㅓ' 발음과 비슷합니다. 일본어에는 없는 'ㅓ' 발음이 들어있습니다. 일본인들은 이 발음을 할 수가 없으므로 'ㅏ'발음으로 바꾸어 발음합니다. '텀'이 '탄(탐)'이 된 이유입니다. 'b'는 한국인들의 경우에는 '비읍(ㅂ)'이지만, 일본인들의 경우에는 '바, 베, 부, 비, 보' 중의 하나의 발음입니다. 자음 비읍에 모음 '아, 이, 우, 에, 오'를 붙여서 발음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서는 '부'를 선택한 것을 볼 수 있씁니다. 또한 일본인들의 경우 두 개의 리을을 소리 내는 방법이 없으므로 l은 무조건 '리을'하나로 발음합니다. 여기에 e가 'ㅓ' 발음이므로 'ㅏ' 발음으로 바뀌어 '탄(탐)부라'가 된 것입니다.
3) 한국어 발음 tumbler
Tumbler는 위에서 말한 발음 기호[ ˈtʌmblə(r) ]에서 맨 마지막 괄호로 되어있는 'r'소리를 제외하고 표현하면 '텀블러'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에서도 이 원리를 적용하여 그대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자음이 여럿 겹치는 상황에서도 알파벳에는 없는 'ㅡ'라는 모음을 사용하여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훈민정음을 활용하여 세계의 모든 소리를 표기하는 "고제윤 글자"의 원리는 아래의 동영상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NZoKZXFHWM
라이브 와 리브, 생방송, 얼라이브, live, alive,ライブ, 고제윤 글자로 (0) | 2025.03.24 |
---|---|
기적 영어로 miracle きせき 한영일 3개국어 한 번에, 고제윤 글자로 (4) | 2025.03.24 |
목요일 영어로, Thursday 영어 발음, 토르의 날, 고제윤 글자로 (1) | 2025.03.23 |
서울 영어로, Seoul 일본어로, 한자로, 고제윤 글자 발음 원리 (4) | 2025.03.22 |
바나나 영어로, banana=finger(손가락), 바나나 고제윤 글자로 (0)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