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SUV영어로 의미, 영어의 v발음 : Meaning, 고제윤 글자

기호 언어학

by 새한글(고제윤) 2023. 8. 12. 14:00

본문

반응형

1. SUV차의 출현 

 전통적인 차량 생산의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흔히 '자가용'이라고 불리는 '세단(sedan)'생산 라인의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트럭(truck)'과 같은 차량의 생산 라인입니다. 두 가지 차량 모두 사람과 물품의 이동이라는 측면에서는 동일하지만, 생산 공정에서는 다른 경로를 선택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둘의 장점을 고루 취하는 차량을 개발한다면 자가용의 편의성과 트럭과 같은 유형의 장점을 갖춘 차량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입니다. 도로에서 벗어나 트럭이나 군용 차량과 같이 비포장길도 달릴 수 있는 차량의 높이를 올리는 방식이 그것입니다. 비포장 도로를 'off-road'라고 하듯이 고속도로와 같이 포장된 길이 아니고 울퉁불퉁하더라도 충분히 이동성이 확보되는 방식이 SUV라고 할 수 있습니다.

 SUV차량은 1984년 말 무렵에 Cherokee라는 브랜드의 차량에 명명하면서 시작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비포장 도로를 달리듯이 울퉁 불퉁하고 불규칙한 측면을 Sports에 비유하여 Sports Utility Vehicle로 표현한 것입니다.

 생산방식이 트럭에서 출발한 것인지, 자가용에서 출발한 것인지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현대자동차에서 만든 KONA는 자가용에서 변형된 것으로 'Crossover'로 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QM6, 싼타페, 쏘렌토 등이 보통 SUV차량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자가용보다는 크고 트럭보다는 작은 경우에 해당하기에 '경트럭(light truck)'으로 볼 수도 있는 종류의 차량들을 SUV로 부르고 있습니다.

2. SUV에서 V발음

SUV차량은 흔히 '에스유비'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에스유비'라고 부르는 표현에 주의 기울여 보면 'SUB'로 들릴 수도 있습니다. 우리말에서는 영어의 v와 b가 구별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영어의 v와 b는 다음과 같은 특성으로 분류가 됩니다. 영어의 v는 Voiced(유성음)의 특성을 갖습니다. 소리가 나는 위치는 윗니로 아랫입술을 물고 계속해서 마찰을 내는 방식입니다. Labio-dental에 해당하는 소리의 특성을 갖습니다. 이에 비해서 영어의 b는 'bilabial(양 입술)'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소리를 내는 기관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이렇게 서로 다른 위치와 서로 다른 소리를 내는 방식의 소리인 v와 b는 우리말에서는 그에 해당하는 분류가 없기 때문에 둘 다 '비읍'으로 표기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V발음과 b 발음의 구별, 발음의 위치와 소리의 특성

3. V발음의 표기 

 영어의 v발음과 b발음을 구별하는 방법으로 1995년 이래로 "고제윤 글자(새 한글)"에서는 b는 비읍으로 표기하되, 영어의 v소리에는 비읍과 구별하여 비읍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표기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글자 표기인 '비읍 순경음'을 되살려서 표기하는 방법입니다. 물론 영어의 b는 우리말 비읍과 다르게 유성음이라는 특성이 있지만, 발음의 위치가 같다는 점에서 '비읍'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비읍 순경음을 v로 표기하는 또 다른 이유는 당시의 소리가 '유성음'으로 분류될 수 있다는 점에 근거합니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표기 원리를 적용하여 v로 나타내고 이 발음 표기를 적용한 것입니다.

V 소리의 표현 원리

 영어의 v와 같은 특성을 갖는 소리에는 위의 글자 표현에서 처럼 비읍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방식으로 표현하여 영어의 'b(비)'와 구별되는 표기 원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