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의 다리를 보면 '8개'입니다. 문어라는 영어 단어가 'octopus'인 이유입니다. 여덟 개의 다리지만 실제로는 다리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두족류'라고 분류하기에 '머리'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여하튼 '8개'의 갈래를 가지고 있습니다.
Octo는 '8'을 의미하는 숫자 표현입니다. 그런데 같은 발음을 가진 October는 '10월'입니다. 8이 갑자기 10이 되었습니다. 덧셈 2를 해야합니다. 같은 원리로 Sept라는 숫자 7도 September에서 보듯이 '9월'입니다.
덧셈 2를 하는 원리는 달력에 두 명의 이름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생긴 현상입니다. July(율리우스) 와 August(아우구스투스)라는 두 명의 이름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당연히 차례로 숫자가 뒤로 밀려나고, 그 결과로 October가 10월이 된 것입니다. 갑자기 시험 답안지 밀려 쓰듯 밀려난 숫자로 월의 이름이 바뀐 것입니다.
* 오늘은 october의 발음입니다.
October를 발음 기호로 표현하면 [ ɑːktoʊbə(r) ]입니다. 알파벳이나 발음 기호 모두 가로 쓰기로 음소를 나열하는 방법입니다. 한글도 가로 쓰기로 표현하면 [ㅏㅋㅌㅗㅜㅂㅓ(ㄹ)]입니다. 가로 쓰기로 배열한 음소를 훈민정음의 표기로 나타내면 '앜도우버'-맨 뒤의 리을 생략-입니다. '앜토우벌'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훈민정음의 표기 원리는 이처럼 모든 소리를 그대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때 훈민정음이 같은 음소 글자를 배열하는 방법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훈민정음의 글자 원리는 모음의 갯수 만큼 글자가 형성됩니다. 모음을 하나의 호흡으로 보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글자 하나는 하나의 호흡이라는 의미입니다. 훈민정음의 과학적 소리 표기 원리입니다.
알파벳이나 발음 기호는 모두 단순히 소리 기호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열하는 방법입니다. 알파벳을 읽을 때 우리는 음절로 나눠서 이해합니다. October의 발음 기호를 [ ɑːk] [to][ʊ][bə(r) ]처럼 읽습니다. 물론 두 개의 모음이 겹치는 경우는 [ou] 두 모음 사이를 짧게 연결합니다. 위의 소리로 보면 4개의 호흡이 이루어지고 글자는 4개의 글자입니다.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에서도 4개의 글자를 소리 그대로 표현했습니다.
October는 Octo(8)와 ber가 결합한 단어입니다. 영어 단어 ber를 한국어에서는 위에서 보듯이 발음에 맞춰 '버'로 표기하고 발음하고 있습니다. 정확하게는 영어의 b소리는 한국어의 '비읍'과는 다른 소리입니다. 영어의 b는 목젖이 울리는 소리(유성음)입니다. 외국인들이 '불고기'와 같은 발음을 할 때 좀 더 울림소리처럼 들리는 이유입니다. 그럼에도 발음의 원리가 비슷하기에 '비읍'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ber'를 가진 단어로 'member'가 있습니다. '구성원, 회원' 등의 한자어로 발음하거나 '멤바, 멤버' 등으로 발음하는 단어입니다. Member를 멤바로 읽는 것은 일본인들의 영어 수용 원리를 받아들인 발음입니다. Member의 일본어 발음이 '멤바(メンバー)'입니다. 일본어에서는 '어' 발음이 없기에 '아'로 발음합니다. October역시 '옥토바(オクトーバー)'의 발음에서 볼 수 있듯이 '바' 발음을 하고 있습니다. '멤바' 발음은 일본어 방식의 언어 표현을 받아들이면서 생긴 발음입니다.
* 오늘은 October의 유래와 발음 원리를 살펴보았습니다.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표기로 발음 연습하기는 아래의 동영상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TCvw0McTnQ
rpm 단위, RPM 뜻,rv/m, per minute의 의미, 고제윤 글자로 (2) | 2025.04.06 |
---|---|
이퀄 equal 뜻, equal sign(=), 이코르イコール, 고제윤 글자로 (0) | 2025.04.05 |
밸런스-바란스 영어로, balance 뜻, 양팔저울, 고제윤 글자로 (1) | 2025.04.05 |
이븐하다 뜻, 이븐 영어로, even, 고제윤 글자로 (4) | 2025.04.04 |
고무, 지우개 영어로, love-rub, 사랑을 지우세요?, 고제윤 글자로 (5)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