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경기 용어 중에서 시원하게 경기장 담장을 넘기는 경우를 home run혹은 homer라고 표현합니다. 야구 방망이에 맞는 경쾌한 소리와 함께 쭉 뻗어 나가는 공을 보노라면 후련한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오늘은 home run의 영어, 한국어, 일본어 발음의 원리입니다.
1) 영어 발음 : home run
야구 경기의 발상지 답게 대부분의 야구 용어는 미국식 영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Home run을 미국식 발음 기호로 표현하면 [ hoʊmrʌn]입니다. 알파벳이나 발음 기호처럼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의 원리로 가로 쓰기로 표현하면 [ㅎ ㅗ ㅜㅁ루 ㅓㄴ]입니다. 이들 각각의 소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h - 자음 '히읗(ㅎ)'으로 표현하였습니다.
o - 모음 'ㅗ'로 표현하였습니다.
ʊ - 모음 'ㅜ'로 표현하였습니다.
m - 자음 '미음(ㅁ)'으로 나타냈습니다.
r - 자음과 모음을 섞은 '루'로 표현하였습니다. 'r'을 '루'로 표현하는 원리는 'r' 소리를 흔히 '전설음(설전음)'이라고 표현합니다. 이 말은 '떨릴 전 혀 설 소리 음'을 의미합니다. 'r' 소리가 '혀끝을 빠르게 떨면서 내는 소리'라는 특성을 표현한 것입니다.
이러한 소리의 특성을 훈민정음은 어려운 용어 필요 없이 '루, 로'와 같은 소리로 표현하면 그 소리를 담을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에서 'r'을 '루, 로' 등으로 표현하는 원리이기도 합니다. 러시아어나 이탈리아어 보다는 비교적 떨림이 덜한 영어에서는 '루, 로' 소리로 충분히 'r'소리를 담아낼 수 있을 것입니다.
ʌ - 모음 'ㅓ'로 표현하였습니다.
n - 자음 '니은(ㄴ)'으로 표현하였습니다.
위에서 제시한 글자 원리로 home run을 표현하면 '호움뤈'입니다.
2) 일본어 발음 : home run
Home run의 일본어 발음은 '호무란(랑)ホームラン'입니다. 각각의 소리는 다음과 같은 원리를 담고 있습니다.
hoʊ - 일본어는 자음과 모음을 하나의 글자와 소리로 이해하므로 '호 ホ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ㅡ'표시는 다른 모음 소리를 나타내거나 긴 소리를 의미하는 기호입니다. '호' 혹은 '호우'를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m - 일본어는 자음과 모음을 하나의 글자로 표현하므로 한국어에서 '미음' 소리가 아닌 '무 ム'로 표현합니다.
rʌ - 일본어에서는 모음 '어' 소리가 없기 때문에 '아'로 발음합니다. '라 ラ'로 표현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n - 일본어에서는 한국어의 니은, 미음, 이응과 같은 유성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ン'글자를 사용합니다. 니은, 미음, 이응 중의 하나를 나타내며, '라'와 결합하여 '란, 랑' 등의 소리를 의미합니다.
3)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
일제 강점기에 그 원칙을 정한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에서는 home run을 위의 표에서 보듯이 '호므란'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위의 표에서 제시한 내용을 옮겨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顫舌音의 앞
'ㅡ'를 붙이어 적을 것 : 외래어 표기법이 훈민정음의 기본 원리인 음소 글자를 음절 글자로 바꾸고, 일본어 방식의 언어 원리를 적용하는 대표적인 내용입니다. 원래에는 없는 소리에 'ㅡ'를 넣어서 표기한다는 내용입니다. 마치 일본어가 자음과 모음을 하나의 소리로 보듯이 받침 소리인 자음에 굳이 모음을 붙여서 더 길어지고, 복잡하게 만드는 원리입니다. '홈' 혹은' 호움'의 받침 미음을 '므'로 바꾸어 '호므'로 표현하는 원리입니다. 일본어의 '호무'와 비교해보면 똑같은 원리를 적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란' 발음 :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에서는 발음 기호의 'ʌ'를 일본어처럼 '아'발음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일본어에는 '어' 발음이 없기에 생긴 원리이며, 이 원리를 적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원리를 적용하여 표현하면 home run은 '호므란'이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복잡한 원리를 제거하면 훈민정음의 원래 모습이 드러납니다.
1995년 이래로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에서는 이러한 일본어 방식의 발음 원리를 제거하고, 훈민정음의 기본 음소 글자의 원리를 적용하여 표현하고 있습니다.
* 아래의 동영상에서도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을 이해하는 원리를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VrWd11XlkM
참고 : 영어 발음 '어'를 '아'로 읽는 경우
dollar - 딸라
jumper - 잠바
perm - 파마
center - 센타
killer - 킬라(에프 킬라)
keeper - 키파(홈키파)
doughnuts 도나츠(쓰)
.....
영어의 글자가 u, e, a와 상관없이 '어' 발음을 '아'로 읽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정확한 규칙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규칙성은 우리말과는 다른 원리입니다. 규칙성을 보이는 언어 구조는 일본어 방식의 한글 영어 표기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일본어 방식의 한글 영어 표기가 정착하면서 '어' 소리를 내고 쓸 수 있음에도, 굳이 '아'로 읽고 썼던 것입니다.
오늘의 영어 단어 double 역시 '더블'이라고 할 수 있음에도 '따블, 따불'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더블'이라고 표현하고 사용할 수 있음에도 일본어 방식의 발음을 사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short 숏 쇼트 쇼츠 발음, 외래어 표기에 담긴 일본어 언어학, 고제윤 글자로 (4) | 2025.05.31 |
---|---|
투머치 뜻, too much와 TMI, much 고제윤 글자로 (6) | 2025.05.28 |
따블 더블, 2배 double, 더블유 고제윤 글자로 (0) | 2025.05.26 |
썸네일 뜻과 발음, 엄지 손가락 영어로 일본어로, 고제윤 글자로 (0) | 2025.05.21 |
일본어 한자어 발음 원리 이해하기, 고제윤 글자로 (9)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