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good의 표기를 '굿'으로 하는지 '굳'으로 하는지에 대해서 혼란을 겪는 경우가 있습니다. Good의 표기에 혼란을 겪는 이유는 good의 어디에도 '시옷'으로 표기할만한 알파벳이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에 근거합니다. Good에 대해서는 소리를 기준으로 표현하면 '굳'이 될 것인데, 어떻게 '굿'으로 표기하는가? 하는 의문에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현재의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굿'에 해당합니다. '굿'이라는 의미가 무속과 관련되는 발음으로도 연결되는 경향이 있어서 '굿' 표기에 대해 의아하게 생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외래어 표기법의 기본 원칙 제3항에는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 만을 쓴다."라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받침으로 good을 소리로 구별하면 기역, 우, 디귿의 세 개의 음운으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알파벳과 같이 가로로 나열하는 방식의 글자에서는 'ㄱ ㅜ ㄷ'이 되겠지만 훈민정음 방식의 표기는 이들 세 개의 소리를 하나의 글자로 모아서 표기하는 방법인 분절음 표기의 원리를 갖고 있습니다. 당연히 '굳'이라고 표현하겠지만, 여기에 다시 제3항의 원칙이 적용됩니다. 받침으로 디귿을 표현하려고 보니, 디귿을 받침으로 표기한다는 내용이 없습니다. 위의 'ㄱ, ㄴ, ㄹ, ㅁ, ㅂ, ㅅ, ㅇ'어디에도 디귿이 빠져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다시 받침 표기의 원리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받침에는 글자로 표현하더라도 그 소리가 대표음으로 변경된다는 내용이 작동합니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로 이어져온 받침으로는 7개로 충분하다거나, 8개로 충분하다는 논쟁이 그것입니다. 시옷으로 표기를 하더라도 디귿 받침과 같은 소리가 된다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위의 논리에서는 디귿을 굳이 표기할 필요가 있는가? 하는 주장에 의해 디귿 표기가 받침에서 사라지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디귿, 시옷, 티읕의 받침 표기를 모두 시옷으로 통일시킨 결과로 '굿'이 된 것입니다.
Goods는 '물건, 상품' 등의 의미를 갖는 명사형 단어입니다. 이 단어의 표기 역시 위의 표기가 적용되어 good은 '굿'으로 표기되고 s의 발음이 z로 표현됩니다. Z에 해당하는 소리는 현재의 우리글에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가장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지읒'으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Goods라는 단어를 보면 끝 부분에 ds(dz)라는 두 개의 자음이 겹쳐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알파벳을 기준으로 표기하면 각각의 소리를 그대로 나열하면 됩니다. 이에 비해서 훈민정음 방식의 표기 원리는 모음을 중심으로 하나의 글자로 표기하는 방법을 갖고 있습니다. 초성, 중성, 종성의 기본 음소를 하나의 글자로 배열하는 방법입니다. 알파벳과 같은 형태의 글자는 각각의 음소를 배열하면서 자음이 겹치는 경우가 필연적으로 생깁니다. Spring, sports처럼 모음 하나를 두고 앞 뒤로 자음이 여럿 겹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알파벳은 음소를 그대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열하는 방법이기에 자음 겹침이 빈번하고 또 특정한 글자들은 셋 이상의 자음이 겹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spr, str'등에서 볼 수 있듯이 자음이 겹치는 것이 가능합니다.
훈민정음 표기 원리에서도 자음이 겹치는 경우를 해결하는 방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자음이 겹치는 대표적인 소리 표기는 현재에도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값, 삶, 흙, 닭,......'등에서 볼 수 있듯이 자음이 겹치는 받침 글자들입니다. 이들 글자를 만약 영어로 단순화하여 표현한다면 gabs, sarm, hgr, darg 등이 될 것입니다. '흙'과 같은 경우에는 영어에는 '으'에 해당하는 소리가 없기 때문에 '자음으로만 이루어진 글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
Goods의 경우도 훈민정음 방식으로 표현한다면 ds가 받침으로 표기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받침으로 단 하나만을 표기한다는 원칙이 적용되기 때문에 뒤에 오는 자음에는 '으'를 붙이고 있습니다. '굿즈'라는 표현이 이 원리가 적용된 것입니다.
1995년 이래로 "고제윤 글자(새 한글)"에서는 훈민정음 방식의 표기 원리를 바탕으로 영어 발음 표기를 개발하여 제시하고 있습니다. Goods의 경우에는 z소리는 지읒 대신에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글자인 반치음(세모 모양의 글자)을 되살려 표기하고 있습니다.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것이 아니라, 영어 발음 표기에 최적화하는 방법으로 훈민정음 표기 원리를 적용한 것입니다.
"고제윤 글자(새 한글)"의 표기 원리를 적용하여 goods를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위의 글자 표기는 각각의 소리에 해당하는 [gudz]를 [기역, 우, 디귿, 반치음]으로 대응시킨 후, 훈민정음 표기 원리인 초성, 중성, 종성의 세 가지 소리를 하나의 글자로 나타낸 것입니다.
ozone, O3, 오존 영어 발음, 고제윤 글자 표기 (0) | 2023.08.21 |
---|---|
더블유의 의미와 더블 브이 글자, 원화 기호 won : origin (0) | 2023.08.21 |
가위, 바위, 보 영어로, rock, scissors, paper : RPS게임 (0) | 2023.08.18 |
리브와 라이브 차이, live pronunciation difference (0) | 2023.08.17 |
The origin of the word banana : 바나나의 어원과 발음 (0) | 2023.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