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리듬과 알로리즘, rhythm-algorithm, th발음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고제윤 글자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6. 17. 12:12

본문

반응형

1. rhythm과 algorithm

 1) thythm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영어에서도 사용되는 thythm은 우리말에서는 보통 리듬, 운율, 가락 등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정한 단위로 강약이 반복되는 형태를 취하기도 하는 경우를 일컫기도 합니다.

 

 2) algorithm

 이에 비해서 영어에서 사용하는 algorithm9세기 무렵의 페르시아 수학자 Muhammad ibun Musa al- khwariami라는 사람에게서 시작된 말입니다. 이 수학자는 아라비아숫자 체계를 서양에 소개하였고, algebra(대수학)라는 용어 역시 그의 업적과 연관지어 등장한 것입니다그의 이름을 라틴어로 옮기면서 "Algoritmi( al- khwariami )라는 말이 등장하고, 이 말이 영어에 들어와서 지금의 영어 단어 algorithm이라는 말이 된 것입니다

 

 이처럼 서로 다른 유래를 가진 단어이지만 이 둘은 똑같이 'thm'의 발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같은 글자를 가진 단어들은 같은 발음인 것이 일반적입니다. 너무도 당연한 원리가 우리말에서는 다른 발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Rhythm에서는 '리듬'에서 보듯이 '듬' 발음을 하고 있고, algorithm에서는 '알고리즘'발음에서 보듯이 '즘' 발음을 합니다.

 

* Algorthm과 관련하여서는 본 블로그의 '알고리즘'에서 다루었으므로 여기서는 thythm발음을 중심으로 다룹니다.

rhythm, 고제윤 글자로

2. rhythm발음 : 영어, 일본어, 한국어, 고제윤 글자

 1) 영어 발음 : rhythm

 Rhythm을 발음 기호로 표현하면 [ ˈrɪðəm ]입니다. 이들 소리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습니다.

r : 영어의 'r' 발음은 우리말에서는 '루, 로'와 같이 모음이 섞인 발음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에서는 맨 앞에 나오는 'r'소리는 '로, 루'등으로 표현합니다. 여기서는 '루'로 표현하였습니다.

ɪ : 모음 '이(ㅣ)'로 나타냈습니다.

ð : 영어의 경우 th로 표시된 소리는 두 개의 소리로 구별합니다. Think, thank, 등에서는 '번데기 기호'를 사용하여 표현하고, rhythm, this 등에서는 'ð'을 사용하여 구별합니다. 'ð'소리는 현재의 우리말에는 없는 소리이며, 양니로 혀를 살짝 물고 있는 상태에서 계속해서 마찰을 일으키는 소리이며, 목젖이 울리는 소리입니다.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디귿'으로 발음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Thythm에서도 '디귿' 발음을 사용합니다.

  반면에 algorithm에서는 'th'발음을 '지읒'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발음 원리는 일본인들의 영어 발음 원리입니다.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일본인들의 경우 '리즈무'처럼 발음하고 있습니다. Th발음을 한국인들의 경우 '디귿'으로 이해하는 경향인 반면에, 일본인들은 '지읒'으로 보고 있는 것입니다. '알고리즘'의 발음에서 처럼 지읒 발음을 사용하는 경우는 '레자(leather-가죽)'의 발음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일본어의 th발음의 수용 원리는 mother, father등의 일본어 발음이 '마자, 화자' 등으로 발음되는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지읒으로 보고 있습니다. 우리의 경우도 일본인들이 '지읒'으로 받아들이는 원리를 수용하여, '알고리즘'과 같은 발음을 하는 것입니다.

 

 Th발음의 경우에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에서는 Think, thank등의 발음에는 시옷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글자로 표기하고, this, that, mother, father 등의 th발음에는 디귿 아래에 작은 동그라미를 그려 넣은 글자를 개발하여 나타내고 있습니다.

 

ə : 모음 '어(ㅓ)'로 표현하였습니다.

m : 자음 '미음(ㅁ)'으로 표현하였습니다.

 위의 각각의 글자 표기 원리를 사용하여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로 표기하면 맨 오른쪽의 글자처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소리를 내는 방법은 '뤼'라는 발음을 한 후에 "양니로 혀를 물고 '덤'발음을 하는 것"입니다.

 

 2) 일본어 발음 : rhythm

 일본어 발음은 위에서 말한 것처럼 th발음을 '지읒' 계열의 소리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로 위의 표에서 제시한 일본어 발음에서 볼 수 있듯이 '즈'발음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일본어에서 맨 마지막 소리인 'm'은 모음을 결합하여 '무'와 같은 발음을 합니다. 이는 일본어의 음절 구조에 기인한 것이며, 훈민정음의 받침 글자 원리와는 다른 방식입니다.

 훈민정음은 소리 호흡의 단위를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받침 글자 원리를 적용합니다. 하나의 소리 호흡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원리입니다.

 

 일본어 방식의 소리 표기 원리를 극복하고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단어를 이해하는 원리는 아래의 동영상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기본 500단어이며, 1음절 단어를 나타냈습니다. 모든 강의는 무료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QC4xjHH6pRg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