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셔츠- 샤쓰- 샤츠 발음의 원리, shirt 고제윤 글자로 셡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

by 새한글(고제윤) 2025. 6. 19. 16:57

본문

반응형

 1. shirt를 샤츠(샤쓰)로 발음하는 원리

 영어 단어 shirt를 발음 기호로 표현하면 [ʃɜːrt ]입니다. 알파벳이나 발음 기호 모두 가로 쓰기로 음소를 배열합니다. 훈민정음의 글자 기호로 각각의 소리를 음소로 표현하면 [쉬 ㅓㄹ ㅌ]입니다. 지중에서 '쉬어'는 우리말에서는 '셔'에 가까운 발음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원리를 적용한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에서는 '셡'입니다.

 우리말 발음에서 '샤츠, 샤쓰' 등의 발음은 일본어의 언어학 원리를 적용한 결과입니다. 두 가지의 일본어 발음 원리가 담겨 있습니다.

 1) '어, 여(ㅓ, ㅕ)'발음이 없는 일본어

 일본어의 모음 구조에서는 한국어의 '어, 여' 발음이 없습니다. 일본어의 모음은 '아, 에, 이, 오, 우'의 다섯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역사적으로도 일본어에서는 한국어의 '어, 여' 발음이 다른 모음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한국어의 '섬'과 같은 발음이 일본어에서는 '시마'와 같은 발음으로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 구개음화로 발음하는 일본어

 일본어의 언어학 원리 중에서 한국어의 언어학 원리에도 적용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구개음화'의 원리입니다. 구개음화는 구개음이 아닌 소리를 구개음인 지읒이나, 치읓으로 바꾸는 현상입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인 언어학자들이 주장했던 언어학 원리입니다.  이 원리는 우리말에서는 '굳이'가 '구지'로 소리나는 경우와 '같이'가 '가치'로 발음되는 상황을 일컫는 방법입니다.

 이에 비해서 일본어에서는 전혀 다른 소리를 원칙으로 정하여 발음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어의 't 티읕(ㅌ)'소리를 '치읓' 계열의 소리로 바꾸어서 발음하거나 영어의 th소리를 '지읒'계열의 발음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일본어의 이 방식이 우리말에서도 그대로 들어와 사용되는 대표적인 사례로 오늘의 shirt발음과 centi발음을 들 수 있습니다. 이 두가지 대표적인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t를 '츠'로 발음하는 일본 언어학 원리입니다.

shirt 고제윤 글자로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일본어는 t발음을 '츠(쓰)'로 바꾸어 발음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구개음화라는 언어학 원리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이에 비해서 한국어의 경우에는 구개음화를 하지 않고도 발음할 수 있습니다. 일부러 다른 발음으로 바꾸어 발음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Centi의 발음에서도 똑같은 현상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센티'라고 발음할 수 있는데, 정확한 발음은 '센치'라고 우기는 이상한 상황이 발생한 것입니다.

 

 2. 원래의 발음과 다른 발음이 되는 '구개음화'가 필요한가?

  1) 영어 발음 centi, centimeter

 Centimeter를 발음 기호로 표현하면 [ séntəmì:tər ] 혹은[ ˈsentɪmiːtə(r) ]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발음을 훈민정음을 활용한 "고제윤 글자"로 표현하면 '센터미터(), 센티미터()'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현재의 한글로도 충분히 가능한 발음 표현입니다.

 Centimeter의 줄임말로 사용하는 centi를 발음 기호로 표현하면 [senti]입니다. 이 글자 역시 한글로 표현이 가능하며 '센티'와 같은 발음임을 알 수 있습니다.

 

  2) 일본어 발음 centi

 일본어에서 'centi'발음은 '센치(センチ)'입니다. 한국어의 '센티'와는 다르게 '티읕''치읓'으로 바뀐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이하게도 몇몇 영어 발음에서 '티읓'이 치읓으로 바뀌거나, 디귿이 지읒으로 바뀌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소리의 변화를 '구개음화(palatalization)'로 표현합니다. 한국어에서 '같이''가치', '굳이''구지'처럼 발음하는 현상입니다

  일본어의 외래어 발음에서 보이는 구개음화는 'd'발음에서도 관찰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 '디귿''지읒'으로 소리나는 현상을 일본어의 외국어나 외래어 발음에서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Radio'라지오(ラジオ)', Saudiarabia'사우지아라비아(サウジアラビア )'처럼 발음 하는 것입니다.

 

3) 받침글자 원리

 훈민정음의 글자 원리는 소리의 호흡을 기준으로 합니다. 하나의 소리 호흡에 하나의 글자로 표기하는 방법입니다. 이 과정에서 가로 쓰기의 알파벳이나 발음 기호 등과는 다른 받침 글자 원리가 등장합니다. 오늘의 영어 단어 shirt를 '셡'처럼 표기하는 과정에서 받침에 리을과 티읕을 함께 표기하는 방식 또한 훈민정음의 표기 원리입니다. 참고로 '셡'의 글자 표기는 현재의 한글 문서에서도 표기할 수 있는 글자입니다. 현재의 우리말에서는 '삶, 흙, 옳, 앉,....'등에 그 표현이 남이 있습니다. '셡' 발음을 읽는 방법은 '셜'발음을 한 후에 '티읕(ㅌ)'소리를 흘리듯이 약하게 내는 방법으로 하나의 호흡을 완성하는 것입니다.

 

 훈민정음의 받침 글자 원리를 활용한 "고제윤 글자"로 영어 발음 이해하기는 아래의 동영상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VrWd11Xlk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