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로 항구 진(津)과 물결 파(波)가 합쳐진 진파(津波)의 일본어 발음 tsunami는 지진해일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자를 놓고 보면 항구를 넘어오는 파도라는 의미이며, 지진이 빈번한 일본에서 어부들이 사용하던 발음으로 볼 수 있습니다. 즉 'tsunami(츠나미)'라는 발음으로 표현하는 일본어는 항구를 넘는 파도라는 의미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Tsunami라는 일본어 발음의 의미를 한자어로 옮기면 '진파'입니다. 순수한 일본어 혹은 한국어에서 유래한 일본어의 발음이 '츠나미'라는 추정입니다. '츠나미'에서 '츠'는 고유한 일본어 혹은 한국어에서 유래한 발음일 수 있을 것입니다.
항구라는 의미의 '츠' 발음과 '물결, 파도'를 의미하는 '나미'의 발음이 합쳐진 표현이 '츠나미'입니다. 오늘날 tsunami는 지진해일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진파'라는 발음을 한자어 발음을 바탕으로 하는 발음이라면 '신하, 신바, 신파'와 비슷한 발음이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진파'라는 한자어를 '츠나미'라고 발음한다는 점에서 전래된 한자어 발음이 아닌, 순수한 일본어 혹은 한국어의 발음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츠나미'의 발음에서 '나미'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개인적인 추정으로 '츠' 발음과 한국어의 '나루, 항구, 곶, '등의 연관성은 크지 않아 보이기에 항구의 '츠' 발음은 아마도 순수한 일본어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좀 더 조사해보면 한국어와의 연관성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여하튼 '츠'와 한국어 '나루, 항구, 곶'등의 항구 관련 단어와의 발음 연관성은 약해 보입니다.
'츠나미'에서 '나미'는 '넘다'를 어원으로 하는 한국어의 가능성을 생각해 봅니다. 항구를 넘는 물결이라는 의미를 볼 때 항구(츠)를 넘다의 의미였을 것이기에 그러합니다. 한국어 '넘'이라는 발음이 일본어에서는 '나미'로 변환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합니다. '넘'이라는 발음은 'ㄴ ㅓ ㅁ'의 구조입니다. 이중에서 모음 'ㅓ'가 일본어에는 없기 때문에 다른 모음으로 변환되며 대부분의 경우 'ㅏ'발음으로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enter를 '센타'로, jumper를 '잠바'로 발음하듯이 오늘날에도 '어' 발음을 '아'발음으로 변경하는 것에서 그 증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어' 발음이 '아' 발음으로 변화하였다면 '넘다'의 '넘'은 '나'로 바뀌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받침 미음은 일본어에서는 받침 소리의 표기가 없기에 '마, 미, 무, 메, 모' 중의 하나로 표현합니다. '넘'이라는 말이 '나미'처럼 발음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한국어에서 '섬'이라는 말이 일본어에서 '시마'로 되었을 것이라는 주장도 이와 같은 원리입니다. 받침 미음을 '마, 미, 무, 메, 모'와 같은 모음이 결합한 소리로 표현하는 방식이 일본어의 특성입니다.
'넘다'라는 우리말의 명사형 '너미, 넘기' 등의 표현에서 '너미'라는 발음처럼 '나미'라는 발음의 일본어의 가능성을 제기해봅니다.
항구를 넘는 물결 즉 '항구너미'라는 발음에서 항구(츠) 너미(나미)의 발음이었을 것이라는 추정입니다.
*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일본어는 오늘날에도 일정한 발음 원리를 보이고 있습니다. '어' 발음의 경우 '아' 발음으로 표기하고 있고, 한국인들에게는 받침 소리로 이해하는 발음을 새로운 음절 발음으로 변화시켜 발음하고 있는 것입니다. Double의 발음을 '더블' 대신에 '따부르'로 발음함으로써, '어' 발음을 '아'발음으로 바꾸고 받침 리을 소리를 '르(루)'등의 음절 발음을 하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일본에서 어부들이 항구에 휩쓸려 오는 물결(파도)라는 의미로 이름을 붙였고, 이 발음을 영어권 사람들이 '쓰나미'라는 발음으로 따라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일본어 발음에서는 Tsunami의 발음이지만 영어에서는 첫 소리에 'ts'가 겹치는 표현은 없으므로 't'가 사라지고 '쓰나미'와 같은 발음이 만들어진 것입니다.
이 표현의 등장은 1946년 알류산 열도의 지진해일에 대해서 일본인이 부르던 표현을 영어권 사람들이 따라하면서, 그리고 언론에 표현이 등장하면서 널리 알려진 계기가 되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인 지질학자들이 이 표현을 학문적으로 사용한 영향도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어 발음과 훈민정음의 원리에 대한 내용은 아래의 동영상 "일본에서 훈민정음을 외치다 1회"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훈민정음 표기로 영어 발음 교정 - 영어 숫자 읽기 연습 (0) | 2025.09.05 |
---|---|
우리말 우리글로 영어 배우기 Class101 강좌 개설 (2) | 2025.09.04 |
뤼튼 ai 광고, 뤼튼과 리튼 발음 written 고제윤 글자로 (4) | 2025.06.30 |
셔츠- 샤쓰- 샤츠 발음의 원리, shirt 고제윤 글자로 셡 (14) | 2025.06.19 |
리듬과 알로리즘, rhythm-algorithm, th발음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고제윤 글자로 (11) | 2025.06.17 |